2012년 09월 02일

Entrepreneurial Article
 
진짜 창업경진대회는 어디에 있을까? 


현재, 대부분의 창업경진대회는 엄밀하게 말하자면 사업계획 심사 대회다.


물론, 그 과정에서 지금까지 창업자 또는 예비창업자의 노력과 과정이 묻어나오기는 하지만.. 훌륭한 사업계획 그 자체에 많은 비중을 두고 있는 것 같다. 이런 계획에 대한 심사에 편중된 경향을, 과정에 대한 심사로 많은 부분 전향을 해야한다고 본다. 그러려면, 심사의 시점을 기존의 단기/일회성 평가가 아닌, 장기/지속성 평가로 바꾸어야 하지 않을까?


기존처럼 단 한 번의 5분~30분 사업계획서를 보고 창업가의 발표를 듣고 이를 평가하여 수상자를 가리는 행사에서 변화가 필요하다. 사업계획서를 보고 평가하고난 뒤, 그 계획을 수행하는 과정과 그 결과를 적어도 한 번 이상은 다시 평가를 해야 진짜 창업경진대회가 아닐까 싶다.


창업은 '실천'이라고 다들 주장하고 있지만, 창업경진대회를 운영하는 주최측에서 그에 대해 보다 본질적인 고민과 실천이 필요하지 않나 싶다. 왜냐하면, 기존의 창업경진대회는 '실천'과 '공평한 기회'를  담기에는 다소 부족함이 있기 때문이다. 


음. 사업이라는 것 자체에 공평함을 내세운다는 것 자체가 어쩌면 아이러니일 수 있겠으나, 적어도 경진대회라면 각자 자신의 아이템에 대한 실전사업계획을 세워보고 그것을 어떻게든 실현해볼 수 있는 기회를 준다면 조금은 사업계획에 대한 불공평함은 사라지지 않을까? 단기/일회성으로 평가를 하는 경우에는 시기야 어찌되었건 오래 많이 준비한 팀은 그 실천의 성과가 다른 팀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거나 훌륭할 가능성이 높다. 실제 심사를 나가보면, 오랫동안 준비한 팀은 그렇지 못한 팀보다 실제로 대부분 적은 점수를 받는 것이 현실이다. 이것은 먼저 출발한 것처럼, 공평한 기회의 측면에서는 다소 불공평하다고 느낄 수 있다. 초등학생과 고등학생 중에 누가 키가 크고 체력이 좋은지를 가리는 것과 같다고 할 수도 있겠다. 


하지만, 아무리 창업분야라도 경진대회라면 지금보다는 공평한 기회를 주어야 하지 않을까? 적어도 각자 자신이 잘하고 하고 싶은 것을 준비해서 해보게끔 한다면 그래도 불공평한 부분은 많이 해소되리라 본다. 그리고, 그 결과는 다를 수도 있지 않을까? 장기라고 하더라도 얼마나 시간을 더 줄 수 있겠는가.. 짧으면 몇 일에서 길면 몇 달 정도이겠지만, 그 기간동안 만이라도 각자 자신의 계획 중에서 뭔가 진행해볼 수 있는 것을 실천해보고 그로부터 또 다른 경험과 가능성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정말 가장 중요한 것은 사실 '공평함'보다는 '실천'이다. 사업에서의 공평함은 어쩌면 내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한 어설프고 억지스러운 이유일지도 모르겠다. 사실, 실천을 위한 공평함이라는 표현이 더 정확할 것이다. 정말, 실천이라면 다르다.


창업은 '실천'인 만큼 경진대회에서도 그것을 평가할 수 있어야 하는데, 기존의 경진대회에서는 실천했던 것에 대한 평가이다. 이미 과거인 것이다. 노력의 흔적이라고 볼 수도 있지만, 몇 분 정도의 제한된 시간 속에서 창업가의 이상과 그 실현 과정을 제대로 평가하기란 쉽지가 않은 일이다. 그래서, 기존에 달성했던 성과는 잠시 접어두고, 향후의 계획 중에서 자신들이 실제 나아가야 할 길을 실제로 해보라고 동등한 기회를 주고 난 뒤 그들의 실현과정을 평가해본다면 이는 상당히 의미있는 결과가 나올 것이다. 그것이 실제 사업을 목적으로 하지 않더라도, 교육적인 측면에서도 상당히 의미있는 효과를 수행자들에게 선사할 것이라 본다.


이미 딱딱하게 굳어있는 실천 결과를 평가하는 것보다, 지금 생생하게 살아 움직이는 현장의 모습에서 이들의 기업가정신과 창업과정을 평가하는 것이 좀 더 정확한 의미에서의 창업 경진대회가 되지 않을까!?


얼마 전에 진짜 창업경진대회라는 행사가 있었는데, 기존의 것들과 무엇이 다른지는 찾아볼 순 없었다. 무엇이 가짜고, 무엇이 진짜인가. 


진짜 창업경진대회는 어디에 있을까?


(Add Budher to your Linked-in / Facebook)



기업가정신 세계일주
[World Entrepreneurship Travel]
-Quest for Little Hero-

Homepage : www.wet.or.kr
Twitter : @wetproject / @btools
E-mail : WET project / Budher Song

기업가정신 세계일주 프로젝트는 아래 기관 및 단체의
 협력과 지원을 받고 있습니다.
 



창업/사업은 실천으로 인한 끊임없는 학습의 과정이다. 매번 또 다른 문제에 부딪히면서도 끝까지 희망의 끈을 놓지 않는 것.


정말 기업가정신을 확산시키려면, 끈기와 인내와 같은 요소부터 경험하게 해야하는 것인지도 모른다. 실제로 많은 석학들도 이야기하지 않았는가! 강한 기업이 살아 남는 것이 아니라, 살아 남은 기업이 강한 기업이라는 것을. 죽지 않고, 그만 두지 않고 끝까지 살아남는 것이 중요하다. 그 과정에서 '행복'까지 잡을 수 있다면, 말 그대로 대박 인생일 것이다. 젊은 청년들에게 부족한 것은 겁 없는 무모함이나 도전정신보다는 끈기와 인내와 같이 녹록한 연륜이 묻어나야 피울 수 있는 꽃이리라. 이는 실제 나의 연구논문에서도 실증적으로 증명된 바가 있다. 기업성과와 기업가정신에 긍정적인 요인은 실제 실천과 깊이 관계된 학습요인들이였다. 예를 들자면, 인내와 끈기와 같은 세부 요인들이 혁신성과 진취성에 매우 강한 인과관계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밝힐 수 있었다.



2012년 09월 02일

Entrepreneurial Article
 
사업계획서(Business or Start up Plan) 라는 것이 사업에서 있어서 과연 정말로 중요한 것인가?  




꽤 오래 전부터 사업계획서(Business or Start up Plan) 라는 것이 사업에서 있어서 과연 정말로 중요한 것인가?라는 질문에 계속 고민을 하는데, 아직 그에 대한 정확한 답을 얻지는 못했지만 대략적으로 현재까지의 판단에 대해 간단하게 언급하자면..

-사업계획서는 사업 실현과정에서 수정/보완해야 할.. 말 그대로 계획이다. 계획은 계획일뿐, 실천은 아니다.
-사업계획서의 진정한 용도는 커뮤니케이션이다. 그 대상은 타인과 자신이다.
-사업계획서 그 자체보다는 창업가의 사업계획 유무가 중요하다. 허나, 창업가의 사업계획적인 행동이 더욱 중요하다.

물론, 사업계획서가 중요한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실제 사업은 매우 복잡한 것이기 때문에 보다 계획보다 더 중요한 것 너무나도 많다. 게다가, 실제 사업을 해보면, 사업계획서는 다 뜯어 고쳐야하는 것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 정도로 계획대로 되는 일이 별로 없다.

최근에 나는 커다란 방향과 큰 흐름에서의 전략 정도의 판만 사업계획을 세워 놓고 나머지는 실제 전투에서 그 상황과 환경, 주어진 자원 속에서 그때 그때 전술적인 판단과 행동에 맡기고 있다. 너무 논리적으로 완벽한 사업계획을 작성하는 것 자체가 어쩌면 현실의 수많은 변수를 무시하는 탁상 위의 이면지를 생산하는 것 이상일 수 없다는 것이 내 생각이다. 사업계획서는 필요하지만, 계획의 논리적 허점을 대비하려고 현실의 정말 중요한 포인트를 놓치게 된다면 그만큼 어리석은 짓은 또 없을게다.

진짜 사업은 파워포인트 안에 있는 것이 아니라, 바로 내 손과 발 아래 있다. 나는 그것을 하나하나 실현해 증명해나가는 것 뿐이다. 사업은 실천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니다. 그것이 창업가라는 존재를 증명해준다.

쉽지 않다. 그러나, 그래서, 한다.


(Add Budher to your Linked-in / Facebook)



기업가정신 세계일주
[World Entrepreneurship Travel]
-Quest for Little Hero-

Homepage : www.wet.or.kr
Twitter : @wetproject / @btools
E-mail : WET project / Budher Song

기업가정신 세계일주 프로젝트는 아래 기관 및 단체의
 협력과 지원을 받고 있습니다.
 





2012년 04월 28일

Entrepreneurial Article
 
사업계획서, 비용, 고객과 시장.
사업계획서 작성에서 정작 중요한 것



요즘 사업계획서를 작성하면서 드는 생각은..

사업계획서를 작성하다보면 문서 작성에 생각보다 시간과 노력이 정말 많이 들어간다. (이왕이면 다홍치마니까..)

내가 지금 30~40장 분량의 사업계획서를 작성하는데 일주일이라는 시간을 쓰고 있는데.. (이 시간이 너무나 아깝다.) 오히려 이 시간을 고객과 시장분석하는데 쓰는 것이 더욱 가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시드머니를 구하기 위해 하는 수 없이 사업계획이란 것을 오랜만에 작성 중인데.. 주어진 양식이 논리적으로 앞 뒤가 맞지 않아서 더 힘들다. 

사업계획이란 것이 각종 도구들을 사용하면서 사업의 전반적인 방향과 과정을 정리하는 것인데.. 사업계획서 작성에 대해 어느 정도 경험이 있고 기본적인 프레임을 익혀놓은 사람들에게 사업계획서는 내가 보기엔 철저히 '다른 사람과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수단'이라는 생각이 든다. 1인 기업이 아닌 이상 내부 구성원들과의 합의이며, 외부 이해관계자와의 커뮤니케이션의 도구로서 역할과 필요성이 더욱 큰 것 같다.


아주 간단한 Ex-Summary 몇 장 분량이 아닌 더 구체적으로 사업계획을 기술하는 것(30장 이상의 서류더미)이 Entrepreneur에게 별 도움이 안될 듯 싶다. 구체적인 계획을 짜놓아도 그것이 시장에 맞는 계획이 아닌 작성자의 머리 속 구상일 가능성이 높고, 실제 그 전략대로 실천해보면 너무나도 많은 변수들에 의해 쉴 새 없이 송두리채 변경되는 것을 대부분 경험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전혀 생각지도 못한 방향에서 막히거나 때로는 실마리를 얻고 문제를 해결하기도 한다. 그만큼 생각과 계획을 현실로 옮기는 것은 참 다르기 때문이다. (물론, 실전 경험이 많은 Entrepreneur는 그 차이가 다른 이들보다는 크지 않을 것이지만.)

그렇기 때문에 목적과 목표에 걸맞는 큰 틀만 기술해놓고, 나머지는 최대한 빠르게 시장에서 부딪혀보면서 탄력적으로 대응하고, 그로 부터 피드백을 받고 방향을 수정해나가는 것이 창업을 준비하는 데는 좀 더 맞을 것 같다. Business Model Canvas나 1Page Proposal에서 좀 더 기술해놓은 분량이라면 사업의 큰 틀과 방향은 명확하게 구상한 것이라 볼 수 있다. 그러면 이때부터 펜을 놓고 전장에 나가 전술적 행위를 해보면서 각종 이슈들을 메모하고 정리하는 동적과정에서 사업계획이 완성되어져 가는 방향이 더 옳지 않을까? 생각해본다.(그래서 Learn Start-Up이라는 개념이 요즘 각광을 받고 있는 것일 게다.)

(요런걸 'Action Business Plan'으로 발전시켜도 좋을 것 같다. 요건 나중에.. 한번 생각해봐야겠군.)

내가 정작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은 '고객과 시장의 특성과 구조분석'이라고 생각하는데.. 고객과 시장을 정확하게 바라볼 수 있다면, 거기에 사업계획의 답이 다 나와 있다. 어느 정도 훈련이 되어 있는 예비창업가라면 사업계획서를 쓰는 시간에 좀 더 고객을 분석하고 시장의 운용구조와 이해관계에 집중하면 문제를 어떻게 풀어나가서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 것인지 해답에 가까운 방향을 잡을 수 있을 것이다. 

어떠한 상황에서도 돈을 쓰는 것이 아닌 돈을 벌어야 하는 창업과 사업의 답은 창업가가 쥐고 있는 것이 아니라 고객과 시장이 쥐고 있기 때문이다.


(Add Budher to your Linked-in / Facebook)



기업가정신 세계일주
[World Entrepreneurship Travel]
-Quest for Little Hero-

Homepage : www.wet.or.kr
Twitter : @wetproject / @btools
E-mail : WET project / Budher Song

기업가정신 세계일주 프로젝트는 아래 기관 및 단체의
 협력과 지원을 받고 있습니다.
 





2012년 04월 22일

Entrepreneur's Diary #055
제 55화 Quest 4 Little Hero's


Start-up Plan


(사진 : Quest 4 Little Hero 사업계획서 표지)



Make a Better World for our Young Generation!!

음~ 정말 오랜만에 만들어 보는 사업계획서. Quest 4 Little Hero를 하기 위해 Seed Money가 필요해서 작성하고 있다.

학교 다닐 때.. '비툴즈(B★tools)' 이후로는 거의 처음이 아닌가 생각된다. 비툴즈는 샘플 판매 단계 이후로 매력적인 시장이 아니라고 판단하고 스스로 홀딩했다. 

그때는 아주 작은 기회를 포착하고 나의 능력을 시험하기 위함이였지만, 지금은 여러모로 다르다. 기회도 기회이지만, 오히려 나의 사명과 뜻에 더욱 촛점이 맞추어져 있다. 그로 인해 나 스스로 기회를 찾고 만들고 극대화하고 있다. 

고객을 Segmentation하고 제공할 Value를 정의한 뒤, Delivery Channel과 Relationship Method를 계획한다. 이를 통한 Profit 창출을 개략적으로 그려보고 있다. 그리고, 조달해야 할 Core Resources를 정리하고, 전략적인 Partners 또한 구상한다. 이를 위한 Core Activities를 계획하고 중요도와 긴급함 순으로 나누어 정리한다. 이런 활동을 하기 위한 Time table과 필요한 Cost를 계산하면.. Holistic Business Modeling은 어느 정도 마무리가 된다.

하악~ 오랜만에 다루는 각종 툴들.. 오랜만에 쓰는 칼날이라 좀 무디네.  30장 내외로 만들어 봐야겠구나. 월요일 강의 준비도 해야되는데.. 흠흠!


(Add Budher to your Linked-in / Facebook)


기업가정신 세계일주
[World Entrepreneurship Travel]
-Quest for Little Hero-

*Homepage : www.wet.or.kr
*Twitter : @wetproject / @btools / @ECultureCenter
*E-mail : WET project / 송정현


2010년 6월 16일

 

기업가정신 세계일주 - 중앙대학교 창업대학원에서 졸업생 자격으로 프로젝트 발표하다.

 

기업가정신 세계일주 프로젝트를 위해 올해 1월달 부터 현재까지,

문태훈 원장님과 박재환 부원장님을 만나뵙고 프로젝트에 대해 설명하고,

이번 상반기 창업대학원 국내연수에 졸업생이지만 참가 자격을 부탁하여

프로젝트에 대한 발표기회를 얻을 수 있었다.

 

3~4번 정도 학교까지 가서 직접 찾아뵙고, 국내연수 발표기회는

그럭저럭 손 쉽게 얻을 수 있었지만, 문제는 후원이다.

 

우선 중앙대학교 창업대학원과 MOU를 체결하여,

상호 우호적인 협력관계를 공포하고,

원장님이 말씀하신 학교발전기금을 통한 후원이나,

대학원 내 홍보비용을 지원 받는 부분도 강구 해보아야겠다.

 

 

우선 발표자료를 따로 만들어야 하는데.....

요즘은 머리가 잘 안돌아간다. 작업이 잘 되질 않는다.

PT 1page 작업하는데도 하루 이상 걸리는 경우도 있다.

 

경수가 도와주기로 해서 일정부분 경수에게 넘겨주어서

조금은 시간을 벌 수 있을 것 같다.

 

 

아직은 넘어야 할 산이 너무나도 많다.

나는 할 수 있다.

우리는 할 수 있다.

 

기업가정신 세계일주 - 중앙대학교 창업대학원 공지사항 내용
 

 

 

 

국내연수 및 사업계획서 평가

 

 

1. 일 시: 2010. 6. 19(토)~20(일)

 

2. 장 소: 아트센터 마노(안성소재)

 

3. 참가대상: 창업경영계열 코칭지도교수 및 대학원생

 

4. 일 정

 

일시

시 간

세 부 일 정

비 고

19일(토)

12:50~14:00

- 중식 및 장소이동

중식개별

14:15~14:30

-기업가정신 세계일주 프로젝트(송정현 졸업생)

마노 미술관2층

14:30~15:00

- 코칭 발표 2개조(New idea generation)

 

15:00~16:20

- 코칭 발표 4개조(사업계획서)

 

16:20~16:40

- Coffee Break

 

16:40~18:20

- 코칭 발표 5개조(사업계획서)

 

18:20~18:30

- 평가정리

 

18:30~18:40

- 시상

 

18:40~21:00

- 석식

 

21:00~

- 정리 및 휴식

 

20일(일)

08:00~09:00

- 조식

 

09:00~10:00

- 창업경영계열 12대 원우회장 선거

마노 미술관2층

10:00~10:30

- 총평(종합정리)/해산

`

  ※ 창업경영계열 원생은 전원 참석.

                     ※ 발표시간 : 15분, 질의응답: 5분,

                     ※ 세부일정은 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이 글은 스프링노트에서 작성되었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