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08월 11일

Interviews
with Young Entrepreneurs
[[작은 영웅들을 찾아 떠나는 기업가정신 세계일주]]


소셜네트워크아고라(Social Network Agora) 행사에서 기업가정신 세계일주 결과에 대해 간략하게 발표했던 동영상입니다.


     SNA에서의 발표, 기업가정신 세계일주 송정현

피치가 많이 모자라네요. 연습과 정리가 되지 않았음을 여실히 드러내보이는 부끄러운 동영상입니다만, 향후 개구리 올챙이 시절을 기억하라는 의미에서 공개해봅니다.

개구리가 되어야 할텐데 말이죠.

(촬영하고 업로드해주신 두눈님께 감사드립니다.)
출처 : http://www.facebook.com/groups/SNF1.0/

(Add Budher to your Linked-in / Facebook)



기업가정신 세계일주
[World Entrepreneurship Travel]
-Quest for Little Hero-

Homepage : www.wet.or.kr
Twitter : @wetproject / @btools
E-mail : WET project / Budher Song

기업가정신 세계일주 프로젝트는 상기 기관 및 단체의 
협력과 지원을 받고 있습니다.



2011년 02월 04일




희망제작소 소셜디자이너 스쿨에서
안철수 교수가 Entrepreneurship(창업가정신, 기업가정신)을 주제로 6회차 특강을 실시했다.

Entrepreneurship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할 수 있는 좋은 기회라 생각된다.
꼭 6회 모두 보시길 권유한다.

기업가정신 세계일주 송정현


희망제작소 소셜디자이너스쿨안철수의 좋은 MBA

6강. 내 삶의 나침반을 찾아서 : '창업동기'를 고민하라

불황의 시대를 타개해 나갈 기업가정신의 진수,
청년들이여 안정된 직장이 아닌 더 큰 꿈을 향해 도전하라
!

성공한 벤처경영인이자 존경받는 기업인 안철수 교수, 그가 직접 창업과 기업경영의 진수를 소개합니다.
자신의 위기를 창조적으로 극복하고자 하는 분, 더 큰 가능성을 확인해 보고자 하는 분은 클릭!

 실 전  


 
[1부]



[2부]



[3부]



[4부]



2011년 02월 04일



희망제작소 소셜디자이너 스쿨에서
안철수 교수가 Entrepreneurship(창업가정신, 기업가정신)을 주제로 6회차 특강을 실시했다.

Entrepreneurship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할 수 있는 좋은 기회라 생각된다.
꼭 6회 모두 보시길 권유한다.

기업가정신 세계일주 송정현


희망제작소 소셜디자이너스쿨안철수의 좋은 MBA

5강. 놀라운 기업가의 삶 : 창업자의 인생을 간접경험하라

불황의 시대를 타개해 나갈 기업가정신의 진수,
청년들이여 안정된 직장이 아닌 더 큰 꿈을 향해 도전하라
!

성공한 벤처경영인이자 존경받는 기업인 안철수 교수, 그가 직접 창업과 기업경영의 진수를 소개합니다.
자신의 위기를 창조적으로 극복하고자 하는 분, 더 큰 가능성을 확인해 보고자 하는 분은 클릭!

 실 전  


 
[1부]



[2부]



[3부]





2011년 02월 04일



희망제작소 소셜디자이너 스쿨에서
안철수 교수가 Entrepreneurship(창업가정신, 기업가정신)을 주제로 6회차 특강을 실시했다.

Entrepreneurship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할 수 있는 좋은 기회라 생각된다.
꼭 6회 모두 보시길 권유한다.

기업가정신 세계일주 송정현


희망제작소 소셜디자이너스쿨안철수의 좋은 MBA

4강. IT, BT 창업 케이스(Harvard Business School Case)

불황의 시대를 타개해 나갈 기업가정신의 진수,
청년들이여 안정된 직장이 아닌 더 큰 꿈을 향해 도전하라
!

성공한 벤처경영인이자 존경받는 기업인 안철수 교수, 그가 직접 창업과 기업경영의 진수를 소개합니다.
자신의 위기를 창조적으로 극복하고자 하는 분, 더 큰 가능성을 확인해 보고자 하는 분은 클릭!

 케이스 스터디  


 
[1부]



[2부]



[3부]



[4부]
사용자 삽입 이미지
2011년 02월 04일



희망제작소 소셜디자이너 스쿨에서
안철수 교수가 Entrepreneurship(창업가정신, 기업가정신)을 주제로 6회차 특강을 실시했다.

Entrepreneurship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할 수 있는 좋은 기회라 생각된다.
꼭 6회 모두 보시길 권유한다.

기업가정신 세계일주 송정현


희망제작소 소셜디자이너스쿨안철수의 좋은 MBA

2강. 자영업 케이스 스터디(Harvard Business School Case)

불황의 시대를 타개해 나갈 기업가정신의 진수,
청년들이여 안정된 직장이 아닌 더 큰 꿈을 향해 도전하라
!

성공한 벤처경영인이자 존경받는 기업인 안철수 교수, 그가 직접 창업과 기업경영의 진수를 소개합니다.
자신의 위기를 창조적으로 극복하고자 하는 분, 더 큰 가능성을 확인해 보고자 하는 분은 클릭!

 케이스 스터디  


 
[1부]



[2부]



[3부]




2011년 02월 04일



희망제작소 소셜디자이너 스쿨에서
안철수 교수가 Entrepreneurship(창업가정신, 기업가정신)을 주제로 6회차 특강을 실시했다.

Entrepreneurship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할 수 있는 좋은 기회라 생각된다.
꼭 6회 모두 보시길 권유한다.

기업가정신 세계일주 송정현



희망제작소 소셜디자이너스쿨안철수의 좋은 MBA

1강. 위기를 탈출하는 창조적 기업가 정신

불황의 시대를 타개해 나갈 기업가정신의 진수,
청년들이여 안정된 직장이 아닌 더 큰 꿈을 향해 도전하라
!

성공한 벤처경영인이자 존경받는 기업인 안철수 교수, 그가 직접 창업과 기업경영의 진수를 소개합니다.
자신의 위기를 창조적으로 극복하고자 하는 분, 더 큰 가능성을 확인해 보고자 하는 분은 클릭!

 창조적 기업가 정신  



[1부]



[2부]



[3부]



[4부]
사용자 삽입 이미지





기업가정신 세계일주 프로젝트의 사회적 기업가정신(Social Entrepreneurship) 분야의
자문위원이신 박재환 교수님의 글입니다.

사회적 기업의 활성화를 위한 3가지 제언을 하셨습니다.
참고 바랍니다.



 
[편집자에게] ‘사회적 기업’ 참여를 높이려면
 
         ▲ 박재환 중앙대 산업·창업경영대학원 교수


지난달 19일 이명박 대통령은 서울 노원구에 있는 사회적 기업 '동천'을 방문해 "사회적 약자들에게 일자리를 주는 사회적 기업에 관심이 많다"고 했다(2월 20일자 A5면). 24일에는 전북 완주의 사회적 기업인 '떡메마을'도 들렀다(3월 25일자 A5면). 사회적 기업을 연구하는 학자로서 반가운 소식이 아닐 수 없다.

사회적 기업(Social Enterprise)이 중요한 이유는 노약자·장애인 등 취약계층에 일자리를 제공하거나 사회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공익을 추구하면서, 기부금 등 외부 지원에 의존하지 않고 스스로 영리활동을 통해 독자적으로 생존할 수 있다는 데에 있다. '일하는 복지'를 추구하는 사회적 기업은 국가재정 부담을 초래하지 않으면서 참여자들이 일을 통해 삶의 가치를 향유할 수 있게 해준다. 이윤 추구와 사회적 책임은 양립할 수 없는 개념 같지만 이를 성공적으로 실천하고 있는 사례도 많다. 영화배우 폴 뉴먼이 설립해 친환경 샐러드드레싱을 생산하면서 세후이익 전액을 사회에 환원하는 '뉴먼스오운', 빈민들에게 저금리 무담보신용대출 사업을 하는 방글라데시의 '그라민뱅크' 등이 그렇다. 국내에도 노동부 인증 사회적 기업이 290여 개에 달한다. 그러나 대부분 영세한 규모라서 경쟁력을 갖추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사회적 기업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정부와 기업, 학계, 언론 모두의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다.

첫째, 창의적이며 혁신적인 '사회적 기업가정신(Social Entrepreneurship)'을 갖춘 인재야말로 사회적 기업의 지속가능성을 높이는 핵심요소이다. 전문인재 육성을 위한 대학(원) 교육과정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

둘째, 사회적 기업에 참여를 높이는 정책이 필요하다. 사회에 기여함으로써 삶의 가치를 찾고자 하는 사람들이 점점 늘고 있다. 심리학자 매슬로(A.H.Maslow)의 '욕구 5단계론'에서 말하는 자아실현욕구를 충족하고자 하는 것이다. 특히 은퇴를 시작한 베이비붐 세대 중에는 사회활동을 통해 삶의 활력을 유지하고자 하는 사람들이 많다. 이들을 사회적 기업에 취업하도록 유도한다면 은퇴자들의 일자리창출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사회적 기업의 인증조건을 완화하고 범위도 넓혀야 한다. 특히 자활 등의 공공성이 강한 복지 분야의 경우 수익을 추구하는 것이 쉽지 않으므로 계속적인 지원이 전제되어야 한다. 사회적 약자에게는 일자리를 제공하고, 사회 양극화와 고령화에도 대처할 수 있는 사회적 기업의 확산으로 보다 따뜻한 사회를 만들기를 기대해 본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