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05월 05일

Entrepreneurial Article
Entrepreneurship is.....
기업가정신이란


#Entrepreneurship에 대한 단상


(사진 : 이탈리아의 청년창업가 마놀로 아브릭냐니 Manolo Abrignani와의 인터뷰 장면)



이탈리아의 청년창업가 마놀로 아브릭냐니 Manolo Abrignani.


그는 Entrepreneurship표현Expression’이라고 이야기했던 것이 떠오른다.

말 그대로 머릿 속이나 가슴 속, 그리고 오장육부 속에 있는, 자신이 생각하는 그 무언가를 표출하는 것이다. 그리고, 그것은 가끔 굉장히 조심히 다루어야 최상의 품질을 창출할 수 있다.”



*표현(表現, Expression) : 생각이나 느낌 따위를 언어나 몸짓 따위의 형상으로 드러내어 나타냄

*표출(表出, Expression) : 겉으로 나타냄



이는 결국, 겉으로 드러내어야 하는 '실천(Practice)'과 그 개념이 유사하다. 표현이라는 단어가 좀 더 인간의 의도적인 의미가 있는 단어라 보여지고, 표출은 단순한 현상을 의미하고 있는 것 같다. 


Entrepreneurship을 보다 잘 나타낼 단어를 꼽자면 표현과 표출이 

기회에 대해 내적통제위(Internal Locus of Control)를 가진 Entrepreneur의 과정은 표현(表現, Expression)이라는 단어가 의미적으로 더 적합한 것 같다. 이들은 자신의 뜻과 철학 등으로 비롯하여 그와 관련된 가치를 만들기 때문이다.


기회에 대해 외적통제위(External Locus of Control)를 가진 Entrepreneur의 과정은 표출(表出, Expression)이라는 단어가 의미적으로 더 적합한 것 같다. 이들은 자신의 의도보다는 외부의 기회에 촛점을 맞추고 이에 맞추어 적절한 대응을 하며 가치를 만들기 때문이다.




결국, Entrepreneurship은 창업가의 문제의식과 기회에서 비롯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사정(射精, ejaculation)의 총체적 과정(Holistic Process)'이 아닐까?




(Add Budher to your Linked-in / Facebook)



기업가정신 세계일주
[World Entrepreneurship Travel]
-Quest for Little Hero-

Homepage : www.wet.or.kr
Twitter : @wetproject / @btools
E-mail : WET project / Budher Song

기업가정신 세계일주 프로젝트는 아래 기관 및 단체의
 협력과 지원을 받고 있습니다.
 






2012년 09월 02일

Entrepreneurial Article
 
진짜 창업경진대회는 어디에 있을까? 


현재, 대부분의 창업경진대회는 엄밀하게 말하자면 사업계획 심사 대회다.


물론, 그 과정에서 지금까지 창업자 또는 예비창업자의 노력과 과정이 묻어나오기는 하지만.. 훌륭한 사업계획 그 자체에 많은 비중을 두고 있는 것 같다. 이런 계획에 대한 심사에 편중된 경향을, 과정에 대한 심사로 많은 부분 전향을 해야한다고 본다. 그러려면, 심사의 시점을 기존의 단기/일회성 평가가 아닌, 장기/지속성 평가로 바꾸어야 하지 않을까?


기존처럼 단 한 번의 5분~30분 사업계획서를 보고 창업가의 발표를 듣고 이를 평가하여 수상자를 가리는 행사에서 변화가 필요하다. 사업계획서를 보고 평가하고난 뒤, 그 계획을 수행하는 과정과 그 결과를 적어도 한 번 이상은 다시 평가를 해야 진짜 창업경진대회가 아닐까 싶다.


창업은 '실천'이라고 다들 주장하고 있지만, 창업경진대회를 운영하는 주최측에서 그에 대해 보다 본질적인 고민과 실천이 필요하지 않나 싶다. 왜냐하면, 기존의 창업경진대회는 '실천'과 '공평한 기회'를  담기에는 다소 부족함이 있기 때문이다. 


음. 사업이라는 것 자체에 공평함을 내세운다는 것 자체가 어쩌면 아이러니일 수 있겠으나, 적어도 경진대회라면 각자 자신의 아이템에 대한 실전사업계획을 세워보고 그것을 어떻게든 실현해볼 수 있는 기회를 준다면 조금은 사업계획에 대한 불공평함은 사라지지 않을까? 단기/일회성으로 평가를 하는 경우에는 시기야 어찌되었건 오래 많이 준비한 팀은 그 실천의 성과가 다른 팀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거나 훌륭할 가능성이 높다. 실제 심사를 나가보면, 오랫동안 준비한 팀은 그렇지 못한 팀보다 실제로 대부분 적은 점수를 받는 것이 현실이다. 이것은 먼저 출발한 것처럼, 공평한 기회의 측면에서는 다소 불공평하다고 느낄 수 있다. 초등학생과 고등학생 중에 누가 키가 크고 체력이 좋은지를 가리는 것과 같다고 할 수도 있겠다. 


하지만, 아무리 창업분야라도 경진대회라면 지금보다는 공평한 기회를 주어야 하지 않을까? 적어도 각자 자신이 잘하고 하고 싶은 것을 준비해서 해보게끔 한다면 그래도 불공평한 부분은 많이 해소되리라 본다. 그리고, 그 결과는 다를 수도 있지 않을까? 장기라고 하더라도 얼마나 시간을 더 줄 수 있겠는가.. 짧으면 몇 일에서 길면 몇 달 정도이겠지만, 그 기간동안 만이라도 각자 자신의 계획 중에서 뭔가 진행해볼 수 있는 것을 실천해보고 그로부터 또 다른 경험과 가능성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정말 가장 중요한 것은 사실 '공평함'보다는 '실천'이다. 사업에서의 공평함은 어쩌면 내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한 어설프고 억지스러운 이유일지도 모르겠다. 사실, 실천을 위한 공평함이라는 표현이 더 정확할 것이다. 정말, 실천이라면 다르다.


창업은 '실천'인 만큼 경진대회에서도 그것을 평가할 수 있어야 하는데, 기존의 경진대회에서는 실천했던 것에 대한 평가이다. 이미 과거인 것이다. 노력의 흔적이라고 볼 수도 있지만, 몇 분 정도의 제한된 시간 속에서 창업가의 이상과 그 실현 과정을 제대로 평가하기란 쉽지가 않은 일이다. 그래서, 기존에 달성했던 성과는 잠시 접어두고, 향후의 계획 중에서 자신들이 실제 나아가야 할 길을 실제로 해보라고 동등한 기회를 주고 난 뒤 그들의 실현과정을 평가해본다면 이는 상당히 의미있는 결과가 나올 것이다. 그것이 실제 사업을 목적으로 하지 않더라도, 교육적인 측면에서도 상당히 의미있는 효과를 수행자들에게 선사할 것이라 본다.


이미 딱딱하게 굳어있는 실천 결과를 평가하는 것보다, 지금 생생하게 살아 움직이는 현장의 모습에서 이들의 기업가정신과 창업과정을 평가하는 것이 좀 더 정확한 의미에서의 창업 경진대회가 되지 않을까!?


얼마 전에 진짜 창업경진대회라는 행사가 있었는데, 기존의 것들과 무엇이 다른지는 찾아볼 순 없었다. 무엇이 가짜고, 무엇이 진짜인가. 


진짜 창업경진대회는 어디에 있을까?


(Add Budher to your Linked-in / Facebook)



기업가정신 세계일주
[World Entrepreneurship Travel]
-Quest for Little Hero-

Homepage : www.wet.or.kr
Twitter : @wetproject / @btools
E-mail : WET project / Budher Song

기업가정신 세계일주 프로젝트는 아래 기관 및 단체의
 협력과 지원을 받고 있습니다.
 



창업/사업은 실천으로 인한 끊임없는 학습의 과정이다. 매번 또 다른 문제에 부딪히면서도 끝까지 희망의 끈을 놓지 않는 것.


정말 기업가정신을 확산시키려면, 끈기와 인내와 같은 요소부터 경험하게 해야하는 것인지도 모른다. 실제로 많은 석학들도 이야기하지 않았는가! 강한 기업이 살아 남는 것이 아니라, 살아 남은 기업이 강한 기업이라는 것을. 죽지 않고, 그만 두지 않고 끝까지 살아남는 것이 중요하다. 그 과정에서 '행복'까지 잡을 수 있다면, 말 그대로 대박 인생일 것이다. 젊은 청년들에게 부족한 것은 겁 없는 무모함이나 도전정신보다는 끈기와 인내와 같이 녹록한 연륜이 묻어나야 피울 수 있는 꽃이리라. 이는 실제 나의 연구논문에서도 실증적으로 증명된 바가 있다. 기업성과와 기업가정신에 긍정적인 요인은 실제 실천과 깊이 관계된 학습요인들이였다. 예를 들자면, 인내와 끈기와 같은 세부 요인들이 혁신성과 진취성에 매우 강한 인과관계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밝힐 수 있었다.


2011년 2월 5일



#000 Song for Entrepreneur


오랫동안 생각만 해왔던 것을 실천으로 옮겨보려고 한다.

홀로 외로이 도전을 하고 있는 이를 위한
아픔의 음악, 용서의 음악, 치유의 음악, 용기의 음악, 세움의 음악을 한 곡씩 정리하려 한다.


끝없는 외로움과 고단함,
슬픔과 좌절 속에서.
홀로 야한 밤을 지세우지 마라.

그래도 우리에겐 비와 음악이 있지 않은가??
그저 편안하게 음악에 젖어보자.

2011년 01월 27일

 

오늘 후원때문에 한남대학교 입학홍보처장님을 미팅했다.

처장님이 나와의 약속을 잊어버려서 약속시간보다 1시간 여를 기다려서야 겨우 만나뵈었다. 그러나 미팅한 시간은 약 5분 정도. 처장님은 총장님 수행때문에 급하게 나가셨고, 최대한 노력하겠다는 말씀만 듣고 돌아왔다.

 

돌아나오는 길, 발이 참 무거웠다.

그러다 우연히 벽에 걸린 액자를 보게 되었다.

 

액자에는 '나의 신조'라는 제목이 크게 눈에 띄였다. 무거웠던 발걸음때문이였을까? '나의 신조'라는 큰 제목때문이였을까?

여튼, 그 제목은 내 무거운 발걸음을 멈추게 했다.

 

나는 그 글 귀를 하나하나 읽어내려갔다.

 

 


나의 신조

 

나는 나의 능력을 믿으며

어떠한 어려움이나 고난도 이겨낼 수 있고

항상 자랑스러운 나를 만들 것이며

항상 배우는 사람으로 더 큰 사람이 될 것이다.


나는 늘 시작하는 사람으로 새롭게 일할 것이며

나는 끈기있는 사람으로 어떤 일도 포기하지 않고

끝까지 성공시킬 것이다.


나는 항상 의욕이 넘치는 사람으로

나의 행동과 언어, 그리고 표정을 밝게 할 것이다.


나는 긍정적인 사람으로 마음이 병들지 않도록 할 것이며

남을 미워하거나 시기, 질투하지 않을 것이다.


내 나이가 몇살이든 스무살의 젊음을 유지할 것이며

나는 세상에 태어나 한가지 분야에서 전문가가 되어

나라에 보탬이 될 것이다.


나는 다른 사람의 입장에서 생각하고 

나를 아는 모든 사람들을 사랑할 것이다.


나는 정신과 육체를 깨끗이 할 것이며

나를 아는 모든 사람들을 사랑할 것이다.


나는 정신과 육체를 깨끗이 할 것이며

나의 잘못을 항상 고치는 사람이 될 것이다.


나는 나의 신조를 매일 반복하여 실천할 것이다.


 

 

이 글은 문봉(文峰) 윤 석 금, 웅진그룹 회장의 신조이다.

이 글귀를 읽고 난 뒤, 다시 걷는 내 발걸음은 가벼워졌다. 나도 나의 신조를 매일 반복하여 큰 소리로 읽고 다짐하고 실천할 것이다. 오늘도 윤석금 선배로부터 어느 후원금보다 값진 삶의 지혜를 배웠다. 감사하다. 정말 고마운 삶이다.

 

 

한남대학교 본관 2층 벽에 걸린 윤석금 회장의 신조

이 글은 스프링노트에서 작성되었습니다.

2010년 01월 09일

 

 

(사진 : G20 Young Entrepreneur Alliance Summit 2010 단체사진, 좌측 첫번째 필자의 모습)


현실 가능성이 낮다고 해서

가능성의 증대 가능성을 제한하지 마라.

 

 

#4092

'현실 가능성'

'가능성'이라는 것은 어떻게 생각하면 참 얄팍한 말이다.

여기서 현실이라는 말이 더 붙으면 더욱 더 그러하다.

그래서 써먹기가 쉽다.

 

"그건 현실 가능성이 없어."

"현실적으로 봤을 때, 무리야."

"현실으로 이루어질 가능성은 낮아."

"그게 현실적으로 되겠어?"

 

우린 항상 현실에 발목을 잡혀 바둥거리며 살고 있다.

그렇다면 그 현실에 발목은 누가 잡는 것인가?

다른사람? 바로 우리 자신이다.

 

위의 이야기들을 정확하게 다시 풀이하자면,

현재의 시점으로 봤을 때, 현실 가능성이 낮은 것을 의미한다.

 

나는 질문하고 싶다.

 

이 가능 성은 변하지 않는 절대적인 값인가??

가능성은 언제든지 변할 수 있는 것 아닌가??

그렇다면 그 가능성은 누구에 의해 바뀔 수가 있는가??

 

 

 

#452809

현실 가능성에 대한 나의 관점을 한마디로 설명하자면 이거다.

 

컵에 물이 절반 정도 담겨져 있다.

자~ 이것을 보고 당신은 어떤 생각이 드는가??

 

물이 반 밖에 안 남았네!? 물이 반이나 남았네?!

 

우리는 이 사례를 너무나도 잘 알고 있다. 당신은 무엇을 택했는가??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 사례에 대해서 학습으로 인해? 긍정적, 부정적인 이분법적 사고를 한다.

이 질문을 어린아이에게 한다면 과연 이분법적인 대답만 나올까??

 

"이슬이 송송 맺혔어요."

"깊은 산 속, 산토끼 전용 옹달샘에서 떠온 물" 이라고 할지도 모른다!

 

문제는 긍정적이냐 부정적이냐가 문제가 아니라는 것이다.

현실 가능성과 물컵 이야기와 무슨 상관이 있느냐라고 할 수 있겠지만, 분명 상관 있다.

 

물컵 이야기를 듣고 나는 조금 다르게 생각했다.

'어떻게 하면 나머지 반을 채울까?'

 

나의 사고와 행동의 관점은 이것에 맞추어져 있다고 해도 과언은 아닐 것이다.

나는 그것을 어떻게 실천해서 이룰 것인가에 맞추어져 있다.

즉, 나는 현실시점이 아닌 늘 미래시점에 맞추어진 사람이다.

 

그것이 설령 불가능한 원대한 꿈일지라도, 나는 나와 우리의 무한한 가능성을 믿는다.

 

기존의 고정관념이나 학습으로 인한 굳어진 앎과 생각들을 뒤집어 보자.

현실이라는 굴레 안에서 오랜시간 학습해오면서 굳어진 세포때문에,

우리는 우리의 잠재 능력을 발견하지 못하고 썩히고 있다.

 

'현실 가능성'은 어쩌면 우리를 불확실한 미래에 대한 두려움을 지우기 위해

도전을 하지 않는 것에 대한 가장 합리적이며 손쉬운 핑계가 될 수도 있다.

많은 이들이 이런 용도로 현실 가능성을 사용하고 있다.

현실 가능성이라는 좋은 핑계거리를 내 편으로 삼지말자.

 

나는 '현실 가능성'이란 것이 미래 시점에서 내가 충분히 조작 가능한 것이라 생각한다.

 

이나모리 가즈오의 경우도 미래시점에 집중한 위대한 창업가(Entrepreneur)이다.

그의 경우도 현재시점에서 보았을 때, 정말 무모한 도전을 많이했는데,

100%의 도전 성공률을 달성한 유일한 이일지도 모른다.

(왜냐하면 그들은 성공할 때까지 도전했기 때문이다.)

 

내가 어떻게 생각하면 무모하고 무리한 목표를 세운다고 생각할지도 모른다.

허나, 내 생각은 다르다. 내 생각은 시간과 함께 흐르고 있다.

 

무모하고 무리한 목표?

그것은 지극히 현재의 시점에서 판단한 무리하고 무모한 목표일지도 모르는 것이라는 거다.

나는 지금이 아닌, 시간이 흐르고 난 뒤의 우리의 자원과 역량, 네트웍 등을 바라보고 던진 목표이다.

그 목표는 우리의 한계보다 설령 너무 높을 수도 있다. 그리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우리가 스스로 날카로운 생각의 칼로 자신의 한계를 정해버릴 때,

우리는 더 이상 발전하거나 성장할 수 없다.

 

일본의 중소기업이 인공위성을 쏘아 올렸던 것처럼,

우리도 우리의 무한한 가능성을 믿고 달을 향해 활 시위를 힘껏 당겨야 하지 않을까??

 


#57234

왜 현재 가능성이 낮다고해서 스스로 그 가능성의 증대 가능성을 제한하는가?

나는 그런 바보 같은 판단을 하고 싶지 않다.

 

우린 미래를 정확하게 예측할 수는 없지만, 계획하고 준비하고 실천한다.

 

하지만, 현재의 시점에서의 현실가능성?이라는 판단기준으로

무한한 인간능력에 대한 발견을 소홀이 하거나, 아예 시도조차 하지 않는 것은,

신을 모독하는 것이나 다름없는 행위이다.

예리한 사고의 제약으로 우리들의 '꿈의 새싹'이 싹둑 잘려져 나가는 것이다.

 

 

나는 그러고 싶지 않은 것 뿐이다.

그럴려면 좀 더 나 자신을 믿고, 우리를 믿어야 한다.

우리는 충분히 할 수 있는 잠재능력을 갖고 있다.

나는 우리가 그것을 끄집어 내려는 정성과 노력이 부족할 뿐이라고 생각한다.

 

누구나 그런 능력을 갖고 있지만, 그것을 꺼내 발현하는 이는 극히 소수다.

단지, 그 차이다.

 

우주는 이미 우리 안에 있는 것이 아니겠는가!!

그것을 어떻게 펼쳐 얼마만큼 꺼내 보이는가가 키포인트다.

 

 

#3478209

나는 우리 멤버들에게 한가지 부탁하고 싶은 것은

내가 설령 무모하고 무리한 목표를 세웠다고 가정했을 때,

정말 무모해. 비현실적이야. 지금 그게 우리 형편에 할 소리야?

라고 대부분 생각할 것이다.

 

분명, 어려운 목표이며, 목적지임이 틀림없다. 

하지만, 오늘부터 여러분들은 이것만 생각해주길 바란다.

나는 어떻게 이 목표를 해낼 수 있을까??

나는 할 수 있다. 나는 나와 우리의 무한한 가능성을 믿는다.

 

그렇다. 너는 할 수 있다.

너의 무한한 잠재력을 제한하거나 무시하는 불법적인 행위를 하지 말라.

우리의 무한한 잠재력을 믿고, 그것을 끄집어 내기 위해 오장육부를 토해낼 것 처럼 해보자.

 

 

 


이 글은 스프링노트에서 작성되었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