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08월 27일

Entrepreneurial Article #
The Definition of Entrepreneurship

(사진 : 검투사의 모습을 통해 현대를 살아가는 창업가의 모습을 엿볼 수 있다. 이탈리아 로마 2011)


창업가정신(創業家精神)의 정의

[The Definition of Entrepreneurship]

최근, Entrepreneurship(기업가정신)은 경제성장의 원동력이자 침체된 경제의 대안이라는 점에서 화두로 떠올랐다. 게다가 안철수씨를 대표주자로 많은 정, 산학연 등 다양한 계층에서 적극적으로 대중매체를 통해 기업가정신을 알리고 있어서 그런지 최근에는 대중들 사이에서 많이 알려지게 되었다. 

이제 기업가정신하면 안철수가 떠오를 정도로 대표 아이콘이 되었다. 어떤 학자나 창업가도 하지 못한 일을 안철수라는 한 인물이 큰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는 것이다. 최근에는 대권 영입 0순위로 떠오른 그 인기 때문인지 요즘 들어 가끔 안철수 까기와 같은 패자의 역습?도 보이지만, 대세는 어쩔 수가 없는 듯, 수많은 네티즌들의 집중 포화를 받고 벌집 신세가 된다.

기업가정신의 확산을 위해 대중에게 널리 알린 것은 안철수가 분명하게 인정 받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렇다고, 안철수를 우상화할 필요도 없다고 생각한다. 그의 이야기처럼 그의 행동만 보고 그에 합당한 평가를 해주면 된다. 욕할 필요도 우상화 할 필요도 없는 것이다.
(그 이외의 자질론 등은 내가 평가할 입장이 아니기 때문에 논하지 않겠다.)

이렇듯 Entrepreneurship이 바짝 주가를 올리고 있지만, 정작 그것에 대한 정확하고 심도있게 이해를 하고 있는 이는 일부에 지나지 않을 정도로 드물다. 그저 무릎팍 도사에서 한번 들어본 뜻모를 단어 정도일지도 모르겠다.

이에 대한 보다 정확한 정보가 대중에게 인식되고 교육되어져, 실천으로서 나타나게끔 사회 다양한 계층에서 힘을 모아야 할 것이다. 그러려면, 우선 Entrepreneurship에 대한 정확한 정보가 필요하다.

이러한 필요에 의거, 근본적으로 Entrepreneurship에 대한 보다 정확한 표기가 필요한 시점이라 생각된다. '기업가정신'이라는 표기 자체가 가지는 한계와 Entrepreneurship을 정확하게 표현하기엔 다소 부적절한 부분 때문이다. 

현재 Entrepreneurship은 일반적으로 기업가정신(企業家精神)으로 표기하고 있으나, 이는 Entrepreneurship의 의미를 설명하기에는 부족한 부분이 많은 표기방법이다. Entrepreneurship은 그 개념적 의미상 '기업가정신'보다는 업(業)을 만드는(創), 무(無)에서 유(有)를 만드는, 탄생의 의미를 담고 있는 창업가정신(創業家精神)이 가장 적절한 한글 표기이다. 

최근 관련 분야 학자들에 의해 논의되고 있는 내용은, 일반적으로 기업가(企業家)는 '기업을 운영하는 사람'으로서 'Business Man'으로 통용되고 있으며, 이는 시장의 환경변화에 대응하고 부족한 자원을 새로운 활동을 통해 기회를 추구하여 시장에 새로운 가치를 창조하는 Entrepreneur의 개념과는 전혀 다른 의미를 지니고 있다는 결론을 내리고 있다.

*Entrepreneur : 창조적 파괴를 주창한 슘페터는, 기존의 경제의 일부로 평가받던 사업가 또는 기업가들과는 다른 의미로서 창조적 파괴와 혁신을 추구하는 경제의 주체로 승격시켰다.

최근 들어, 안철수 등 일부 학자들이 일으킬 기(起)를 사용해서 기업가(起業家)라고 재 해석하고 있으나, '업을 일으키다'라는 표현 자체가 본질적으로 새로운 가치를 창조하는 Entrepreneurship의 본질적 의미를 설명하기에는 다소 미흡하다.

창업가정신(創業家精神, Entrepreneurship) 
외부환경 변화에 민감하게 대응하면서 항상 기회를 추구하고, 그 기회를 잡기 위해 혁신적인 사고와 행동을 하고, 그로 인해 시장에 새로운 가치를 창조하는 일련의 활동과정.
(창업학 석사 송정현, 2011. 08. 26)

'Entrepreneurship'의 가장 정확한 표기는 영어 단어를 그대로 표기하거나, 영어발음대로 '앙트러프러너십'으로 표기하는 것이 가장 정확한 표현이겠지만, 한글표기를 한다면은 기업가정신이 아니라 [창업가정신]으로 의미상 보다 정확하게 표기되어야 마땅하다.
 

(Add Budher to your Linked-in / Facebook)



기업가정신 세계일주
[World Entrepreneurship Travel]
-Quest for Little Hero-

Homepage : www.wet.or.kr
Twitter : @wetproject / @btools
E-mail : WET project / Budher Song

기업가정신 세계일주 프로젝트는 아래 기관 및 단체의
 협력과 지원을 받고 있습니다.
 




2011년 02월 04일




희망제작소 소셜디자이너 스쿨에서
안철수 교수가 Entrepreneurship(창업가정신, 기업가정신)을 주제로 6회차 특강을 실시했다.

Entrepreneurship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할 수 있는 좋은 기회라 생각된다.
꼭 6회 모두 보시길 권유한다.

기업가정신 세계일주 송정현


희망제작소 소셜디자이너스쿨안철수의 좋은 MBA

6강. 내 삶의 나침반을 찾아서 : '창업동기'를 고민하라

불황의 시대를 타개해 나갈 기업가정신의 진수,
청년들이여 안정된 직장이 아닌 더 큰 꿈을 향해 도전하라
!

성공한 벤처경영인이자 존경받는 기업인 안철수 교수, 그가 직접 창업과 기업경영의 진수를 소개합니다.
자신의 위기를 창조적으로 극복하고자 하는 분, 더 큰 가능성을 확인해 보고자 하는 분은 클릭!

 실 전  


 
[1부]



[2부]



[3부]



[4부]



2011년 02월 04일



희망제작소 소셜디자이너 스쿨에서
안철수 교수가 Entrepreneurship(창업가정신, 기업가정신)을 주제로 6회차 특강을 실시했다.

Entrepreneurship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할 수 있는 좋은 기회라 생각된다.
꼭 6회 모두 보시길 권유한다.

기업가정신 세계일주 송정현


희망제작소 소셜디자이너스쿨안철수의 좋은 MBA

5강. 놀라운 기업가의 삶 : 창업자의 인생을 간접경험하라

불황의 시대를 타개해 나갈 기업가정신의 진수,
청년들이여 안정된 직장이 아닌 더 큰 꿈을 향해 도전하라
!

성공한 벤처경영인이자 존경받는 기업인 안철수 교수, 그가 직접 창업과 기업경영의 진수를 소개합니다.
자신의 위기를 창조적으로 극복하고자 하는 분, 더 큰 가능성을 확인해 보고자 하는 분은 클릭!

 실 전  


 
[1부]



[2부]



[3부]





2011년 02월 04일



희망제작소 소셜디자이너 스쿨에서
안철수 교수가 Entrepreneurship(창업가정신, 기업가정신)을 주제로 6회차 특강을 실시했다.

Entrepreneurship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할 수 있는 좋은 기회라 생각된다.
꼭 6회 모두 보시길 권유한다.

기업가정신 세계일주 송정현


희망제작소 소셜디자이너스쿨안철수의 좋은 MBA

4강. IT, BT 창업 케이스(Harvard Business School Case)

불황의 시대를 타개해 나갈 기업가정신의 진수,
청년들이여 안정된 직장이 아닌 더 큰 꿈을 향해 도전하라
!

성공한 벤처경영인이자 존경받는 기업인 안철수 교수, 그가 직접 창업과 기업경영의 진수를 소개합니다.
자신의 위기를 창조적으로 극복하고자 하는 분, 더 큰 가능성을 확인해 보고자 하는 분은 클릭!

 케이스 스터디  


 
[1부]



[2부]



[3부]



[4부]
사용자 삽입 이미지
2011년 02월 04일



희망제작소 소셜디자이너 스쿨에서
안철수 교수가 Entrepreneurship(창업가정신, 기업가정신)을 주제로 6회차 특강을 실시했다.

Entrepreneurship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할 수 있는 좋은 기회라 생각된다.
꼭 6회 모두 보시길 권유한다.

기업가정신 세계일주 송정현


희망제작소 소셜디자이너스쿨안철수의 좋은 MBA

3강. 파트너와의 창업 및 기업인수 경영(Harvard Business School Case)

불황의 시대를 타개해 나갈 기업가정신의 진수,
청년들이여 안정된 직장이 아닌 더 큰 꿈을 향해 도전하라
!

성공한 벤처경영인이자 존경받는 기업인 안철수 교수, 그가 직접 창업과 기업경영의 진수를 소개합니다.
자신의 위기를 창조적으로 극복하고자 하는 분, 더 큰 가능성을 확인해 보고자 하는 분은 클릭!

 케이스 스터디  


 
[1부]



[2부]



[3부]

2011년 02월 04일



희망제작소 소셜디자이너 스쿨에서
안철수 교수가 Entrepreneurship(창업가정신, 기업가정신)을 주제로 6회차 특강을 실시했다.

Entrepreneurship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할 수 있는 좋은 기회라 생각된다.
꼭 6회 모두 보시길 권유한다.

기업가정신 세계일주 송정현


희망제작소 소셜디자이너스쿨안철수의 좋은 MBA

2강. 자영업 케이스 스터디(Harvard Business School Case)

불황의 시대를 타개해 나갈 기업가정신의 진수,
청년들이여 안정된 직장이 아닌 더 큰 꿈을 향해 도전하라
!

성공한 벤처경영인이자 존경받는 기업인 안철수 교수, 그가 직접 창업과 기업경영의 진수를 소개합니다.
자신의 위기를 창조적으로 극복하고자 하는 분, 더 큰 가능성을 확인해 보고자 하는 분은 클릭!

 케이스 스터디  


 
[1부]



[2부]



[3부]




2011년 02월 04일



희망제작소 소셜디자이너 스쿨에서
안철수 교수가 Entrepreneurship(창업가정신, 기업가정신)을 주제로 6회차 특강을 실시했다.

Entrepreneurship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할 수 있는 좋은 기회라 생각된다.
꼭 6회 모두 보시길 권유한다.

기업가정신 세계일주 송정현



희망제작소 소셜디자이너스쿨안철수의 좋은 MBA

1강. 위기를 탈출하는 창조적 기업가 정신

불황의 시대를 타개해 나갈 기업가정신의 진수,
청년들이여 안정된 직장이 아닌 더 큰 꿈을 향해 도전하라
!

성공한 벤처경영인이자 존경받는 기업인 안철수 교수, 그가 직접 창업과 기업경영의 진수를 소개합니다.
자신의 위기를 창조적으로 극복하고자 하는 분, 더 큰 가능성을 확인해 보고자 하는 분은 클릭!

 창조적 기업가 정신  



[1부]



[2부]



[3부]



[4부]
사용자 삽입 이미지





2010년 12월 15일

 


(사진 : 마치 자신의 꿈을 바라보고 있는 듯한 모습, 리차드 브랜슨)




기업가정신 세계일주 첫 방문 국가인 중국(2010년 11월 18일 ~ 12월 12일)을 다녀와서,

짐 정리하고 찾아뵙고 인사드릴 분들께 인사를 드리기도 전에, 일이 산더미처럼 내게 쏟아졌다. (중국에서 전화기를 잃어버리는 바람에 아직 많은 분들에게 안부 인사를 못 드리고 있다.)

 

 

#64325

하지만, 오늘 아침.

 

한남대학교 창업선도대학 신청을 위한 TF팀에 아이디어 발표를 하면서,

기업가정신 세계일주 프로젝트가 한남대학교 창업선도대학 신청계획서에

공식 프로그램으로 삽입하는 것으로 결정이 났다.

(관심가져 주신 김형태 총장님과 김홍기 교무처장님께 감사드립니다.)

 

나의 건의사항은

창업교육은 이론교육과 실천교육이 병행되어야 하며,

이론교육은 기본 소양교육을 위주로 하되, 학생들의 실천 프로그램에 비중을 더욱 두어야 합니다.

특히, Bottom-up방식의 학생들의 좋은 제안은 실제로 실천할 수 있도록

물리적, 정신적 환경을 조성하고, 지원을 해야합니다.

그런 프로그램은 정말 세계를 선도하는 프로그램이 될 수 있을 것 입니다.

 

나는 학교에서 학생들이 마음껏 자신의 꿈을 시험해보고 펼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주어야 하고,

그 꿈이 좋고 나쁨을 떠나서 이를 실천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지하고 지원을 해야한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정말 청년창업가를 의도적으로라도 붐업시켜야 한다.

젊은이들이 동경심을 불러 일으킬만한, 제대로 된 Little Hero가 전 세계적으로 필요하다.

 

리차드 브랜슨, 스티브 잡스, 빌게이츠, 안철수, 정주영 등 이런 Super Hero들의 역할과

실제적으로 청년들을 움직이게 하는 작은 영웅(Little Hero)의 역할은 반드시 다르다고 생각된다.

Super Hero와 Little Hero가 풍성하게 존재해야 창업생태계가 매우 원활하게 운영이 될 것이다.

 

대학에서부터 그런 문화가 형성되고 발전해야 청년창업과 도전이 활성화 될 것이다.

창업교육은 손으로 하는 공부보다는 발로 뛰는 실천에 더욱 비중을 두고 있어야 한다.

 

젊은이들도 더욱 더 환경에 변화하고 근시안적 사고와 행동보다는,

장기적인 인생의 관점에서 먼저 뜻을 세우는 것이 중요하다고 본다.

 


#32890

만약 한남대학교가 창업선도대학으로 선정이 된다면,

우리 기업가정신 세계일주 프로젝트도 합당한 예산을 받고,

보다 많은 청년들의 꿈과 희망을 위해 일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나는 청년들의 꿈과 희망을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다.

이것은 내 인생의 사명이기에.

 




이 글은 스프링노트에서 작성되었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