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09월 04일

Entrepreneurial Article 

#한국의 기업가정신 / 창업 교육 설계 및 평가에 대해 



지난해 말부터 시간 날 때마다 틈틈이 연구한 기업가정신 교육에 대한 교육설계, 수행평가를 이번 학기에는 상당부분 보완했다. 어쩌면, Quest 4 Little Hero 프로그램이 현재 대한민국 기업가정신 교육에서 교육학적 관점으로의 설계가 된, 몇 안되는 프로그램이 될런지도 모르겠다. 어쩌면 처음(최초)일지도 모르겠다. 그것은 자랑스러운 것이 아니라, 사실 안타까운 현실이기도 하다. 

한국에서 기업가정신과 창업 교육에 대한 교육설계와 평가부분에 대해 제대로 된 경험이 있는 사람이 도대체 얼마나 될까?? (혹시, 아신다면 꼭 조그만 정보라도 꼭 남겨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기존의 여러 교수님들과 전문가들도 이에 대한 제대로 된 교육설계와 평가기준에 대해 얼마나 심도 있는 고민을 하고 교육현장에 적용했는지는 알 수는 없지만, 현재 주변에서 실제로 이루어지고 있는 창업 교육과 기업가정신 교육을 들여다 보면 대부분 교육학적 관점에서의 연구와 이론에 의한 교육설계/평가는 솔직히 현실적으로 많이 결여되어 있다.

하긴, 현실상 기업가정신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 자체도 별로 없지 않은가! 국내에서 자체적으로 개발된 것은 희소하고 해외에서 들여온 기업가정신 교육 프로그램 역시 별로 없거니와, 이들 프로그램의 각각의 수준도 천차만별이다. 대부분 기업가정신만을 위한 교육이라기 보다는 창업교육의 한 파트에 기업가정신 교육이 등그러니 놓여져 있다. 사실 개념/현실상 [기업가정신]의 일부분이 창업인데도 불구하고, 현장에서는 거꾸로 창업을 하기 위한 핵심역량 정도로 기업가정신이 받아지고 교육되어지고 있다는 것 역시도 안타까운 현실이다.


최근의 연구분야에서의 내 관심은 기업가정신 이론보다는, 기업가정신의 자기주도적인 경험적 이해를 도울 수 있는 교육학적 관점에서의 체계적이며 잘 설계된 훈련방법과 그에 대한 설계방법이였다. 

몇몇 주변 지인들에게 기업가정신과 창업 교육에 있어서, 교육학적 관점을 제대로 적용한 프로그램이 있어야 한다고 계속 주장하고 있다. 이에 대해 많은 사람들이 공감은 하지만, 쉽사리 현실에서 실천하기는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그도 그럴 것이 이들 대부분은 해당 분야에서의 전문가이지 교육설계/평가의 전문가는 아니기 때문이다.

내가 만든 기업가정신 함양을 위한 자기주도적 액션 멘토링 [Quest 4 Little Hero] 프로그램 역시 아직 완벽하게 설계가 완료되진 않았지만, 그 간 어느 정도는 꽤 진척이 있었다. 혼자 연구하고 진행하고 있어서 여간 더디고 힘든 것이 사실이지만, 그 방향과 성과에 대해서는 매우 만족스럽다. 애시당초 계획처럼 아직은 오픈할 단계는 아닌 것 같고, 어느 정도 기틀이 잡혀지면 해당 분야의 전문가를 찾아가서 이런 저런 조언과 도움을 구하고 보완한 뒤에, 대대적으로 공개를 할 생각이다. TEDx나 Start Up Weekend와 같은 글로벌 이벤트처럼 운영을 하여 확산을 최대화하려고 한다. 보다 체계적인 프로그램 설계에 많은 시간과 공을 들이고 있는 이유는 바로 여기에 있다. 

나는 이 프로그램을 내가 아닌 다른 사람들이 주최/주관을 해서 운영할 수 있도록 체계를 만들어 놓고 이를 지원하는 역할을 하면서, 한국이 개발하고 선도하는 최초의 글로벌 기업가정신 이벤트로 성장시켜보고 싶다. 그것만 집중해도 시간이 모자랄테지만, 나에겐 그런 경제적/시간적 여유가 주어져 있지는 않다. 여느 스타트업처럼 한정된 자원과 환경에서의 고군분투 중이지만, 조만간에 그동안 고민하고 연구했던 것들을 정리하고 문서화해서 Quest 4 Little Hero의 프로그램의 교육 / 운영체계 모두를 정립할 계획이다.  제대로 된 프로그램을 하나 만들어 보면서, 그 이후에는 전문가들을 활용해서 좀 더 보완하고 발전하는 방향으로 진행할 계획이다.



이와 관련해서 최근에, 이민화 회장님의 글에서 창업교육에 대한 흥미로운 칼럼이 공개되었다. 그의 글은 기술 프로젝트 수행적 측면에서의 주장이지만, 전반적으로 수행평가, 행동중심적 교육훈련, 프로젝트 수행 등이 창업 교육의 최적 대안이라는 주장이라는 글인데, 동감하는 부분이 많아서 공유하고자 한다.

[이민화의 스타트업 바로보기] <13·끝>

성공적 창업교육의 대안

효율성 위주 요소 경제에서 창조적인 혁신 경제로 이행하는 데 필수불가결한 것이 기업가정신이다. 혁신은 기업가 정신에 기반을 둔 창조적 도전에 의해서 이뤄진다. 혁신성은 많은 연구에서 작고 젊은 기업에서 더욱 활성화 된다는 것이 입증됐다. 결국 우리나라의 혁신국가 도약을 위해서는 기업가정신에 기반을 둔 청년 창업의 활성화가 유일한 대안이다.

대한민국 교육에서 기업가정신 교육 현황은 어떠한가. 지난해까지만 해도 기업가정신 과목을 두개 이상 제공하는 학교가 손꼽을 정도였다. 그러나 중소기업청과 교육과학기술부가 창업선도대학과 산학협력선도대학 사업을 전개하면서 60여개 대학이 관련 과목을 개설 준비하고 있다. 하지만 정작 가르칠 교수와 콘텐츠는 태부족이다. 이를 해결할 수 있는 근본 자원이 확보돼야 한다. 기업가정신 교육 콘텐츠의 상당 부분은 미국에서 벤치마킹할 수 있다.

미국 일류대학은 예외 없이 수십 개의 개방된 기업가정신 프로그램을 가지고 있다. 유튜브에서 기업가정신을 치면 수많은 강의가 뜬다. 그러나 기업가정신 교육의 핵심인 기업사례 연구와 창업프로젝트는 미국에서 얻을 수 없다. 창업사례 연구는 당연히 우리나라에서 새롭게 만들어갈 분야이다. 창업 프로젝트야 말로 한국 환경에 맞는 차별화된 주제가 필요하다.

기업가정신 교육에 이어 부족한 부분은 핵심 역량을 구축할 수 있는 융합기술 교육이다. 이제는 첨단 기술이 아니라 적정기술 융합이 세상을 이끌어나가는 디자인 시대다. 다방면의 기술을 이해하고 인간을 중심으로 디자인해 나가야 한다. 이를 위해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하는 융합기술 교육이 교육의 중심으로 자리 잡아야 한다.

협업팀 프로젝트는 바로 기업가정신을 위한 최적의 교육 대안이다. 이런 프로젝트 중심 교육의 가장 큰 문제는 평가시스템이다. 정답이 없는 교육이기 때문에 그 결과를 평가한다는 것은 대단히 어려운 문제다. 결국 주관에 의한 평가를 할 수 밖에 없다. 주관에 의한 평가방식에서는 집단 지능이 활용돼야 한다. 집단 지능 발현을 위한 현실적 대안은 `상호 평가(Peer Review)`다. 상호 평가가 작동하기 위해서는 내부 집단 편가름이 없어야 한다. 즉 평가를 평가하는 메타평가가 필요한 것이다. 프로젝트 중심 교육은 협력성과 창조성을 키워주는 교육이 되고 정답이 아니라 오답의 교육이 되고 콘텐츠(내용)가 아니라 컨텍스트(맥락) 교육이다.

프로젝트 결과를 사업화하는데 필수적인 과정이 특허다. 기술 그 자체는 이제는 따라잡는데 많은 시간이 걸리지 않는다. 기술 그 자체는 이제 근본적인 차별화의 요소가 되기는 어렵다는 것이다. 특허를 출원해 본 학생은 세상의 문제를 보는 깊이를 갖는다. 사업계획서를 써 본 학생은 세상의 가치를 창출하는 안목을 가지게 된다. 스펙을 쌓는 남의 삶이 아니라, 기업가 정신에 기반을 둔 나의 삶에 도전하는 것은 청년의 권리다.

이민화 벤처기업협회 명예회장 (mhleesr@gmail.com)

프로젝트 중심 교육의 평가를 제대로 갖추기 위해서는 사실 당연하게 프로그램 설계가 잘 되어야 하는 것이다. 설계와 평가는 분리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동전의 양면과도 같은 것이다. 평가를 잘 하려면, 설계를 잘해야 하고. 설계가 잘 되면 평가를 잘 할 수 있다.

상호평가 관련해서는 지난 학기 직접 실시 해보니, 학생들 상호평가 기준을 명확하게 설명해주고 그 기준에 따라 평가하도록 유도할 필요성이 있고 그 유도가 잘 되지 않으면 상호평가라도 그 객관성이 결여될 수 있다는 것을 경험적으로 알 수 있었다. 나의 경우에는 지난 학기 45%를 학생 상호평가로 책정하긴 했지만, 가감점, 기타 추가 평가항목 등으로 인해 실제 최종 반영은 40% 정도 반영된 것 같다. 평가체계 역시도 교육 설계의 일부이긴 하지만, 프로젝트 수행평가에서 너무 상세하고 구체적인 평가기준은 평가의 유연성을 떨어뜨리게해서 오히려 적절한 평가를 방해하기도 한다. 그래서 평가 기준은 등급별로 최소한의 평가 요소를 넣어두고, 부연 설명 등으로 평가항목에 대한 보다 정확한 목적과 목표 설명을 덧붙여준다면 효과적인 것 같다.

이렇듯, 한 학기를 실시해보니까 보다 객관적이며 명확한 평가체계의 개선이 필요하다는 것을 느꼈고, 이는 보다 구체적이고 명확한 교육학적 측면에서의 제대로 된 교육설계가 절실히 필요하다는 것을 느꼈다.

이런 경험적 니즈를 바탕으로, 최근 몇 달 동안 Quest 4 Little Hero 프로그램은 Reverse Engineering으로 프로그램을 보완하고 있다. 우선, 기업가정신 세계일주를 실천하면서 학습했던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프로그램으로 만들어야겠다는 생각을 했고. 그 결과, 작년에 귀국해서 책을 쓰면서 동시에 기업가정신 이론에 입각해서 쿼리큘럼을 짜놓고 프로그램을 실행해보았다. 그 결과, 이런 저런 문제점도 있었으나 충분히 해결 가능한 문제들이였고, 학습성과는 내 기대 이상으로 효과적이였다. 문제점을 보완하고 좋은 성과를 거둔 것을 보다 높이기 위해서는 교육학적인 설계와 평가부분을 강화하여 훌륭한 프로그램으로 발전시킬 필요가 있었던 것이다. 프로젝트 수행과 관련된 교육학적 이론(주로 PBL / CPS을 중심으로)을 공부하고 이를 바탕으로 나 역시 직관과 통찰에 의해 설계했던 쿼리큘럼을 이론적인 배경과 실사례를 바탕으로 개선/보완하고 있다.

이런 경험을 해보니까, 창업과 기업가정신 교육에 있어서 교육학적 측면의 고민과 노력이 그동안 거의 전무했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고, 그것에 대한 중요함과 필요성을 새삼 절실하게 느낄 수 있었다.

이제 한국은 창업이나 기업가정신 교육에 있어 교육학적 관점에서의 Re-Engineering이 시도되어야 하며, 여기서 쌓은 역량을 바탕으로 한국의 독자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야 한다. 이는 아마 아주 천천히 진행될 것이다. 물론, 그간 뛰어난 전문가들이 해외 교육프로그램을 접하고 쿼리큘럼을 바탕으로 한국에서 기업가정신이나 창업교육을 진행해왔다. 그런데, 이는 교육학적 관점 또는 교육자(설계자)의 교육철학이 반영된 오랜 고민과 심도있는 연구, 많은 시행착오 끝에 나온 아주 명확하고 간단하게 보이는 쿼리큘럼의 차용이나 모방이 대부분이였다고 본다. 실제 주변에 기업가정신 또는 창업을 교육하는 사람들이 꽤 많은데, 교육학적 관점에서 체계적인 설계와 평가를 하고 있는 사람은 안타까운 일이지만 보질 못했다. 물론, 이 분야에 많은 연구와 현장 경험을 갖고 계신 대단한 분들이지만, 대부분 교육학적 측면이 결여된 경영 또는 창업학적 이론 지식과 오랜 경험에 의존하여 개개인의 직관이나 통찰력에 의해 계획되고 진행되고 평가되어지고 있다. 학습자의 학습 결과물에 대해 명확하게 기재된 평가항목과 기준에 근거한 기업가정신 교육과 창업교육이 실시되고 있다는 정보를 들은 적이 없다.

그나마 내가 최근 몇 년 사이 경험하거나 보았던 창업 교육 프로그램 중에서 한밭대학교가 노스캐롤라이나 대학에서 가져온 기술창업에 포커스된 'TEC' 프로그램, 대덕특구에서 실시한 High-Up 교육 프로그램 정도만이 꽤 오랜시간을 고민하고 투자하여 운영하고 있다는 인상을 받았다. 하지만, 해당 프로그램은 사실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교육훈련의 목적보다는, 실제 창업가(예비 포함) 또는 지원 담당자 등을 대상으로 정말 실무에서 바로 쓸 수 있는 실제적인 프로그램이였기 때문에 실제로 평가항목과 기준이 있고 그에 따라 참가자의 학습결과물을 세세하게 평가했는지는 모르겠지만, 이에 대한 평가는 아주 세부적인 것까지 크게 신경 쓸 필요가 전혀 없는 상황이라서 그렇게 시행하지는 않았던 것으로 판단된다.

이렇듯, 설계와 평가를 총체적으로 연구된 기업가정신과 창업 교육 프로그램은 그 수가 아주 적을 뿐더러, 게다가 그것을 문서로 일목요연하게 정리한 것은 더욱 더 전무한 것 같다.

허나, 이제는 기업가정신과 창업 교육분야에서 교육학적 관점을 많이 반영한 제대로 설계된 교육 프로그램들을 만들고 실시해야 한다. 인재 밖에 믿을 것이 없는 한국에서 훌륭한 기업가정신 / 창업 프로그램이 늘어나야 개인과 국가 경쟁력이 증가하게 될 것이다. 실제로 그렇게 되어야 하고, 나 또한 역량이 미약하지만 그렇게 되도록 노력할 것이다.


ps :
혹시, 기업가정신/창업 교육 중에 교육학적 관점으로 세부적인 사항까지 잘 설계된 프로그램이 있다면 제보를 부탁드리고 싶다. (해당 문서가 영업비밀이라서 공개할 수 없다면, 제 것과 맞교환도 좋고, 그저 만나서 이야기만이라도 나눠볼 수 있는 기회를 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Add Budher to your Linked-in / Facebook)


기업가정신 세계일주
[World Entrepreneurship Travel]
-Quest for Little Hero-

*Homepage : www.wet.or.kr
*Twitter : @wetproject / @btools / @ECultureCenter
*E-mail : WET project / 송정현
CITI BANK 895-12006-267-01
송정현(기업가정신 세계일주)


2010년 09월 21일

 

기업가정신 관련 좋은 국제행사가 있어 소개 올립니다.

바로 제 모교인 중앙대학교 산업창업경영대학원 개원 20주년 기념행사에

Entrepreneuship (창업가정신, 기업가정신) 관련 좋은 행사가 예정되어 있습니다.

 

카우프만 재단에서 좋은 연사를 초청하는 자리이니

꼭 오셔서 좋은 말씀 듣고 가세요~

 

많은 분들이 참석하셔서 좋은 정보 얻어가시길 바랍니다.

고맙습니다.

 

 

                                                              송정현 배상.

 

 

 


 

 

International Conference 2010

기후변화와 산업·창업의 기회

Climate Change and Industrial, Entrepreneurial Opportunities

(Exploring environmental and social values)

 

 

일시:  2010102314:00~21:00

장소: 중앙대학교 일반대학원 5층 국제세미나실

 

Time: 2010. October. 23rd. Afternoon session 14:00-21:00

Place: International Seminar Hall. Graduate School Building, 5th floor, Chung Ang University

 

 

 

주최: 중앙대학교 산업·창업경영대학원

후원: GEW 2010

Organized by : Graduate school of industrial & entrepreneurial management

Supported by : Global Entrepreneurship Week 2010


초대의 글

 

중앙대학교 산업·창업경영대학원이 올해로개원 20주년을 맞이하게 되었습니다. 산업·창업경영대학원은 19902월 개원한 이래 사회에 공헌하는 전문 경영인과 성공 창업인 양성을 위해 꾸준한 노력을 기울여 왔습니다. 이제 산업·창업경영대학원은 715명의 석사학위 취득자와 1,621명의 특별과정 수료자를 포함하여 총 2,336명의 졸업생을 배출한 명문 주말대학원으로 성장하였습니다.

산업·창업경영대학원은 경영과 창업을 중심으로 다양하고 특화된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으며, 모든 전공의 학생들을 사회에 공헌하는 전문 경영인과 성공 창업인으로 육성하기 위해 잠재력과 역량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가장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전문인력의 양성을 위하여 기후경제 전공을 신설하였으며,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여 사회적기업 전공을 내년에 신설할 계획입니다. 또한 대한민국 최초로 창업학 박사과정을 설립하였으며, 창업학 박사학위자를 곧 배출할 예정입니다.

이번에 개최하는 국제학술 세미나는 최근 중요한 이슈로 대두되고 있는기후변화와 산업·창업 기회가 주제입니다. 일본, 미국, 한국의 전문가들을 초청하여 기후변화와 산업동향, 일자리 창출을 위한 창업촉진 방안, 그리고 녹색성장 시대의 사업과 창업기회에 관한 발표와 열띤 토론의 장이 될 것입니다. 흥미진진한 세미나가 될 것을 확신합니다. 그리고 세미나에 이어 만찬을 겸한 20주년 기념행사도 계획되어 있습니다. 

바쁘시더라도 왕림하시어 개원 20주년 세미나와 기념행사의 자리를 빛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img01.jpg 

 

2010.9.20

산업·창업경영대학원 원장

문 태 훈

 

 



Invitation

 

It is our honor and pleasure to have 20th anniversary of The Graduate School of Industrial and Entrepreneurial Management, Chung Ang University. Since the Graduate School was established in February of 1990, it has nurtured students as professional business managers and successful entrepreneurs who contribute to society. So far, the Graduate School produced 715 of master degree students and 1,621 of special program students, totaling 2,336 alumni.

 

The Graduate School provides a wide range of programs centering on the management and entrepreneurship. Students in every major can develop their skills and potentials to become professional business managers and successful entrepreneurs who benefit society. In an effort to nourish specialized human resources capable of dealing with the most pressing issues of the days, the School introduced the Climate Economy Major in the spring semester of 2010 and plans to establish the Social Enterprise Major next year. In addition, our Graduate School has established Entrepreneurship Ph.D program for the first time in Korea and expecting to produce Ph.D graduates soon.

 

To celebrate the 20th anniversary and to promise further development, we prepared International Seminar on “Climate Change and Industrial, Entrepreneurial Opportunities” which is one of most pressing issues in these days. We invited experts from Japan, USA and Korea to talk and discuss about prospect of international climate talks, ways to promote entrepreneurship for more job, and to explore business and entrepreneur opportunities in Green Growth Era. I am sure it will be an interesting and stimulating seminar. Please come and enjoy the seminar and celebrate our 20th Anniversary. 

Thank you very much.

 

 

 

 

2010. September. 20.

Dean, Graduate School of Industrial and Entrepreneurial Management

Moon, Tae Hoon.

 

 

Simultaneous Translation Service Provided

 

13:00-14:00   등록

14:00-14:20   개회식

환영사: 문태훈(원장/교수, 중앙대 산업·창업경영대학원)

축사: 박범훈(총장, 중앙대학교)

격려사: 김동선(청장, 중소기업청)

14:20-15:00   Session I : 기후변화와 그린 사업

사회자: 박재환(부원장/교수, 중앙대 산업·창업경영대학원 )

 : Satoshi Kojima(Director, Institute for Global Environmental Strategies )

기후변화에 따른 일본 산업정책의 현재와 미래

15:00-15:40  Session II : 기업가정신과 창업기회

 : Jonathan Ortmans(President, Global Entrepreneurship Week Senior Fellow, Ewing Marion Kauffman Foundation)

기업가정신의 함양과 새로운 사업기회의 모색

15:40-16:20  Session : 녹색성장과 에코창업

 : 이병욱(교수, 세종대학교, 환경부 전 차관)

녹색성장정책의 산업 및 창업기회

16:20-16:40    휴식

16:40-17:40    토론

사회자:  이민화(기업호민관)

토론자:

Satoshi Kojima(Director, Institute for Global Environmental Strategies )

Jonathan Ortmans(President, Global Entrepreneurship Week Senior Fellow, Ewing Marion Kauffman Foundation)

이병욱(교수, 세종대학교, 환경부 전 차관)

민경세(원장, 한밭대학교 창업경영대학원)

유창민(이사, 삼일회계법인)

김정인(교수, 중앙대 산업경제학과)

More to be invited.

17:40-17:50   폐회사

폐회사: 문태훈(원장/교수, 중앙대 산업·창업경영대학원)

18:00-21:00   리셉션


 

 

 

Simultaneous Translation Service Provided

 

13:00-14:00   Registration

14:00-14:20   Opening Ceremony

Opening Remarks

Moon, Tae-Hoon(Professor/Dean, Graduate school of industrial & entrepreneurial management )

Welcoming Remarks

Park, Bum-Hoon(President, CHUNG-ANG UNIVERSITY)

Encouragement Remarks

Kim, Dong-Sun(Director, The Small and Medium Business Administration)

14:20-15:00   Session I : Climate Change and Green Business

Moderator: Park, Jae-Whan(Professor/Vice Dean , Graduate school of industrial & entrepreneurial management )

Speakers: Satoshi Kojima(Director, Institute for Global Environmental Strategies )

“Present and future of Japanese industrial policy in the era of climate change”

15:00-15:40  Session II : Entrepreneurship and Entrepreneurial Opportunities

Speakers: Jonathan Ortmans(President, Global Entrepreneurship Week Senior Fellow, Ewing Marion Kauffman Foundation)

“How to motivate and improve Entrepreneurship and Obtaining better opportunities”

15:40-16:20  Session: Green Growth and Eco-Entrepreneurship

Speakers: Lee, Byung-wook(Professor, Sejong University, a former Vice Minister of Ministry of Environment)

“Industry of Green Growth policy and entrepreneurial opportunities”

16:20-16:40    Coffee Break

16:40-17:40    Discussion

Moderator:  Lee, Min-Hwa(Chairman/Office of The Small and Medium Business Ombudsman)

Panel:

Satoshi Kojima(Director, Institute for Global Environmental Strategies )

Jonathan Ortmans(President, Global Entrepreneurship Week Senior Fellow, Ewing Marion Kauffman Foundation )

Lee Byung-Wook(Professor, Sejong University, a former Vice Minister of Ministry of Environment)

Min, Kyung-Se(President, Graduate school of entrepreneurship in hanbat national university)

Yoo, Chang-Min(PRICEWATERHOUSECOOPERS)

Kim, Jeong-In(Professor, Department of industrial economics)

More to be invited.

17:40-17:50   Closing Session

Closing Remarks

Moon, Tae-Hoon(Professor/Dean, Graduate school of industrial & entrepreneurial management )

18:00-21:00   Reception

 

 


 

 

산업·창업경영대학원 20주년 기념 행사

 

시간

세부내용

비고

18:00~19:00

석식만찬(공연/장기자랑 리허설)

 

19:00~19:10

20주년 INTRO영상쇼

- Before 20

 

19:10~19:20

[환영사]

- 대학원장

 

19:20~19:30

[격려사]

-하성규 부총장

 

19:30~19:40

[20주년 영상메시지 축사]

- 총장, 전대학원장, 졸업생등 영상물 방영

 

19:40~19:50

[산업인상/창업인상 수상]

- 시상 : 문태훈 원장

 

19:50~20:00

[발전기금 전달식]

- 수여 : 하성규 부총장

 

20:00~21:00

[공연]

- 사회자 및 가수 : 나건필

- 초청퍼포먼스 공연

- Black&Scale Crew비보이 공연팀

- 전공별 장기자랑

 

21:00

[환송]

- 감사인사

 

 

이 글은 스프링노트에서 작성되었습니다.

안녕하세요. 기업가정신 세계일주 팀장 송정현입니다.

기업가정신 세계일주, 인터뷰 대상자 섭외 현황입니다.

 

계속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하고 있습니다.

고맙습니다.

 

후원 : CAU.JPG  로고.jpg

 

 

 

기업가정신 세계일주 - 해외 인터뷰 대상자

 

*현재 섭외 완료된 Interviewee (차후 일정 조정 필요)

  1. Bill Drayton (빌 드레이튼) : ASHOKA Foundation, CEO
  2. Mary Gordon (메리 고든) : Roots of Empathy, Founder & CEO
  3. Pamela Hartigan (파멜라 하티건) : Skoll Center for Social Entrepreneurship (University of Oxford), Director
  4. Kerwin Tesdell (커윈 테스델) : Community Development Venture Capital Alliance, President
  5. Idei Nobuyuki (이데이 노부유키) : Quantum Leaps Corporation, Founder & CEO (前 SONY, CEO)
  6. Shigeo Kashiwagi (신게오 가시와기) : Keio University, Prof.
  7. Kandeepan (칸디판) : Malbu Group, Managing Director
  8. David Choi (데이비드 최) : Loyola Marymount University, Prof.
  9. David. O. Malia(오말리아) :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Prof.
  10. q
  11. q
  12. q
  13. q
  14. q
  15. q
  16. q
  17. q
  18. q
  19. q
  20.  

 

 

*예비 인터뷰 대상자

  1. Wu Xiaoling (우 샤오링) : Financial and Economic Committe National People's Congress, Vice Chairman
  2. q
  3. q
  4. q
  5. q
  6. q
  7. q
  8. q
  9. q
  10.  

 

 

*목표 인터뷰 섭외 대상자(반드시!!)

  1. Richrad Brandson (리차드 브랜슨) : Virgin Group, CEO
  2. q
  3. q
  4. q
  5. q

 

 

 

기업가정신 세계일주 - 국내 인터뷰 대상자

 

*현재 섭외 완료된 Interviewee (차후 일정 조정 필요)

  1. 박종우 : 띠울건설 & 띠울석갈비, 대표
  2. 양영석 : 한밭대학교, 교수
  3. 조영탁 : 휴넷 대표이사
  4. q
  5. q
  6. q
  7. q
  8. q
  9. q
  10.  

 

 

 

 

 

*예비 인터뷰 대상자

  1. 이민화 : 기업호민관
  2. 안철수 : KAIST 석좌교수, 前 안철수연구소 CEO
  3. 한홍택 : KIST 원장
  4. 심규태 : CFO스쿨 부회장
  5. 박재환 : 중앙대학교 교수(사회적 기업가정신)
  6. 윤선애 : 피아니스트, 충남대 교수
  7. q
  8. q
  9. q
  10. q

 

이 글은 스프링노트에서 작성되었습니다.

안녕하세요. 기업가정신 세계일주 팀장 송정현입니다.

기업가정신 세계일주, 인터뷰 대상자 섭외 현황입니다.

  인터뷰 섭외 후 Idei Nobuyuki씨와 함께 기념촬영.

 

계속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하고 있습니다.

고맙습니다.

 

기업가정신 세계일주 - 해외 인터뷰 대상자

 

*현재 섭외 완료된 Interviewee (차후 일정 조정 필요)

  1. Bill Drayton (빌 드레이튼) : ASHOKA Foundation, CEO
  2. Mary Gordon (메리 고든) : Roots of Empathy, Founder & CEO
  3. Pamela Hartigan (파멜라 하티건) : Skoll Center for Social Entrepreneurship (University of Oxford), Director
  4. Kerwin Tesdell (커윈 테스델) : Community Development Venture Capital Alliance, President
  5. Idei Nobuyuki (이데이 노부유키) : Quantum Leaps Corporation, Founder & CEO (前 SONY, CEO)
  6. Shigeo Kashiwagi (신게오 가시와기) : Keio University, Prof.
  7. Kandeepan (칸디판) : Malbu Group, Managing Director
  8.  

 

 

*예비 인터뷰 대상자

  1. Wu Xiaoling (우 샤오링) : Financial and Economic Committe National People's Congress, Vice Chairman
  2.  

 

 

*목표 인터뷰 섭외 대상자(반드시!!)

  1. Richrad Brandson (리차드 브랜슨) : Virgin Group, CEO
  2.  

 

 

 

기업가정신 세계일주 - 국내 인터뷰 대상자

 

*현재 섭외 완료된 Interviewee (차후 일정 조정 필요)

  1. 박종우 : 띠울건설 & 띠울석갈비, 대표
  2. 양영석 : 한밭대학교, 교수
  3.  

 

 

 

 

 

*예비 인터뷰 대상자

  1. 이민화 : 기업호민관
  2. 안철수 : KAIST 석좌교수, 前 안철수연구소 CEO
  3.  

 

이 글은 스프링노트에서 작성되었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