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 일자 : 2017년 
보도 매체 : 
보도 출처 :  


창업/기업가정신 관련 정보


#

National I-Corps 한미인스트럭터 워크샵 2일차



2일차 : 고객중심 창업교육(Customer Discovery) 적용사례 


1. 한양대 I-Corps 프로그램 운영사례 (권용준 대표)

-국내 교육 사례 : 2017년 여름 7주 과정으로 진행

-전담 인스트럭터 7명이 참여, 사례중심 강의

-오프닝 캠프 - 미들 체크 - 클로징 캠프, 중간에 진행

-시장조사비용 지원

-플립러닝 시 선행교육 과제를 주었으나, 사전 학습이 잘 진행되지 않은 경우가 있었음. 관리 필요.

-온라인 프로젝트 관리 시스템을 활용하여 인스트럭터의 실시간 진도체크, 정보/의견 공유가 유용함.

-모든 인스트럭터들이 프로젝트 팀의 활동에 대한 피드백

-고객발굴 계획 - 실험 - 결과 및 향후 계획 수립


*코멘트 : 고객인터뷰에서 정량과 정성 데이터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하기 전에 정량 목표가 먼저 우선시 되어야 함. 매주마다 인터뷰하는 내용이 다르다. 해당 주제별로 인터뷰 활동을 잘 수행해야 함. BMC의 단계별로 인터뷰를 잘 할 수 있도록 푸시, 관리해야 함.

*코멘트 : 인스트럭터가 푸시해서 참가팀에게 인터뷰 목표 숫자를 채워야 함. 매우 중요한 부분.

*코멘트 : I-Corps가 힘들다고 하는 것은 인터뷰 목표가 매우 타이트하기 때문. 




2. 고려대 I-Corps 프로그램 운영사례(심경수 책임연구원)

-KIC 워싱턴 해외연수 진행.

-비지니스 모델 55가지 패턴에 대한 학습.

-서울대 이정도 교수 축적의 시간 - 아이디어 -> 스케일업, 결국 하나씩 고객을 학습하는 과정.

-지나난 과정을 통해 끈기를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함.

-스케일업

-네이버 카페를 활용하여 온라인 런치패드 역할로 활용.




3. 연세대 I-Corps 프로그램 운영사례()

-Lab to Market 교과과정(3학점)으로 개설, 대학원생 대상으로 교육 진행.

-정식 교과과정이라 1주마다 수업을 진행.



4. KDB 고객개발 프로그램 운영사례(이윤석 팀장)

-1학기 과정에서 1년 과정으로 확대

-12개 대학에서 20개 대학으로 확장



5. 학생 활동 우수사례

#해외활동팀

-PI의 적극적인 참여가 매우 중요함. EL의 입장에서 다양한 네트웍, 기회를 활용할 수 있었음.

-미국시장 고객발굴 활동과정에서 일반 소비자를 대상으로 111건의 인터뷰를 실행. 일반 소비자의 수요는 낮다는 것을 발견.

-일반 소비재용 제품/서비스와 하이테크를 다루었던 팀들이 있어서 기술적 이해가 높은 인스트럭터가 참여해주면 좋을 것 같다. 고객개발 과정이 이공계 학생들이 교육받으면 좋은 연구를 하는데도 많은 도움이 될 것.

-중간평가 과정에서 좋은 활동과정에 대한 평가가 누락되었음. 보완 필요.

-대학원생이나 포닥 과정의 팀들은 지재권이 학교에서 속해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가이드라인이 제시되어야 추후 사업화 과정이 원할할 것 같음.




국내활동팀

-멘토의 가르침과 현장의 목소리를 들어서 좋았음, 현장에서 몸으로 부딪혀가며 학습한 것이 좋음, 비지니스 모델을 고객의 니즈에 따라 수정보완해가는 점이 좋았음.

-자신이 기획했던 제안을 현장에 했으나, 현장에서는 해당 제안 아이디어가 필요가 없었고, 대신에 다른 현장에서의 문제점을 발견하고 그에 대한 솔루션을 개발하는 과정으로 수정/보완(PIVOT)

-현장에 나가서 뭘해야 할지 매우 막막했고, 좁은 인맥으로 관련 분야의 고객 인터뷰를 진행하는 것이 어려웠음. 현장에서 고객발굴하는 방법에 대해 가이드를 받으면 좋을 것 같음.

-대학원생이라 연구실을 비우기가 쉽지 않음.




한양대팀

-3D 프린터 소재를 개발하는 팀, 자외선 조사 시 발광하는 3D 프린터 레진 소재 개발

-중국 고객발굴 사전교육 - BM 교육 멘토링, 피드백, 중국창업 환경, 마케팅 교육. 고객발굴하는 방법은 세부적으로 교육되어지지 않은 것 같음.

-중국 해외 연수과정에서 실제 고객개발 과정과 관련된 실무 현장 교육을 받지는 못한 것으로 판단됨. 단순 기존 해외연수 정도의 수준. 고객개발 과정을 거친 것이 아니라, 창업과정에 대한 발표로 판단됨.






국내 1기 인스트럭터 경험 및 인사이트 공유 세션

1. 이흥식 교수

-본인은 가치제안과 고객세분화를 중심으로 진행. 다른 인스트럭터와 함께 프로그램 진행.

-기술창업 교과목으로 진행했으나, 플립러닝에 대한 부분은 쉽지 않았음. 

-학생들이 인터뷰 활동에 많은 시간을 내는 것에 큰 부담을 가졌었음. 학기 중에는 다른 수업 등으로 인해 물리적인 시간 자체가 부족함. 고객발굴에 온전히 집중할 수 있는 물리적 시간이 주어진다면 좀 더 좋은 성과 창출.

-플립러닝을 좀 더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성이 있음.

*코멘트 : 미국 학생들도 학기 중에 진행. 100회 인터뷰 진행. 한국 학생들만 겪는 어려움은 아니라고 생각함. 2주 동안 집중 인터뷰하는 것은 우려스러운 상황. 양적 수준을 채우는 것이 중요함. 프로토콜을 잘 수행하지 않아서 좋은 결과가 나오지 않을 수도 있음. 방법론을 익히는 것이지 사업화 성공을 위해서 학습하는 것이 아님.



2. 권용준 대표

-리져널, 내셔널 프로그램이 차이점이 있는가?

*고객 인터뷰를 주로 진행

*숏텀 프로그램 : 고객 인터뷰 중심으로 진행, 

  2주 프로그램 : 고객 가치제안을 추가

  4주 프로그램 : 프로젝트 전체를 진행해보도록 진행

*인터뷰 할 때 기술적인 내용은 공개하지 않는 것이 중요. 제품/서비스에 대한 소개 및 고객의 니즈와 문제점에 좀 더 집중하는 것이 중요. 

*SBIR 지원 프로그램을 위해서 I-Corps 프로그램이 나온 것. 정부 관점에서 Innovation, Impact, IP 중요하다. 과제 선정의 기준이 3개 관점에서 진행. 고객개발은 결국 현장에서 혁신과 임팩트 가능성을 찾는 것.

*인스트럭터는 정해진 속도와 목표 활동을 달성하도록 잘 진행하는 것이 중요. 단기간에 100명을 만나는 것은 

*우리가 속도와 양적 학습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이유는 50,000$ 정도의 지원금을 받을 수 있는 수준의 팀이라면 그 정도 고객/시장에 대한 이해과 학습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 해당 목표를 수행하지 않으면 50000$를 지원하지 않음. 결국, 몇 주가 되었던 간에 목표 수준의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 그래서 우리에겐 100개의 인터뷰를 하라는 기준점을 제시하고 있음.

*고객발굴에서 중요한 것은 듣는 것이다. 고객이 원하는 것을 듣는 것이다. 우리 얘기를 소개하는 것이 아니라, 고객의 문제점이 무엇인지와 필요로하는 솔루션이 무엇인지 듣는 것이 중요함. 우리가 원하는 인터뷰는 우리 제품/서비스가 이런건데 어떠냐 식의 질문이나 인터뷰가 아님. 

*SBIR과 STTR 조직이 있는 이유는 내 기술 이외에 기술이 필요하기 때문에 STTR을 통해 라이센싱 계약을 통해 기술조달하기 위함.



3. 주창림 교수

-전반적인 팀의 수준은 높은 역량을 갖추고 있었으나, 몇몇 팀원들은 연구실 등의 상황으로 잘 참여하지 못하는 것 같음. 

-고객발굴 과정에 집중해야 하는데, 아이템에 집중하는 경향도 있었음. 인스트럭터와의 사전 조율 등에 미흡(런치패드 등을 활용해서 사전 토의의 장이 필요한 듯)

-프로젝트의 진행과정(변화)가 한 눈에 잘 파악하기가 쉽지 않음.

-멘토와 인스트럭터에 대한 역할/범위 분담을 정확하게 정리하는 것이 필요.

-교육과정에 대한 부분이라면 교육과정에 대한 부분에 평가를 해야 할 것 같고, 사업화 관점이라면 사업화 관점으로만 평가를 해야 할 듯. 두 가지 관점은 다르기 때문에 다른 트랙으로 구분하여 평가.

-진행과정에서 참여팀이 중간 워크샵 과정에 참여하지 않는 경우도 많았음. 좀 더 후킹될 수 있는..

-프로그램 진행 이후 후속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봄.

*I-Corps 관점에서 멘토를 정의하자면, 여러 과정에서 참가팀을 도와주는 전문가라고 볼 수 있음. 그러나, 이들은 컨설팅을 하지는 않음. 프로그램에서 멘토는 모든 프로그램에 참여를 함.

*기술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제품/서비스의 고객가치가 중요함.

*강사와 멘토가 프로그램을 진행할 때, 사전 학습을 많이 함. 단계별로 강사와 멘토가 참가팀의 진행과정이나 결과를 공유하고 그에 따라 어떻게 진행할지에 대한 부분을 중간 단계마다 




4. 성상현 교수

-7주 동안 고객개발 프로그램

-미드 포인트 워크샵에서는 중간 정보공유 및 점검 과정임.

-인스트럭터인데 멘토역할을 하는 경우가 현장에서 많았음. 인스트럭터 역할에 집중해야 할 필요성이 있음. 

-온라인 플랫폼을 활용하는데 U300플랫폼은 일부 기능 제한이 있어서 한계. 좀 더 업그레이드 된 플랫폼을 개발하고 있음. 런치패드의 경우도 학생들에게는 적합했으나, 고객검증 부분이 

-사전학습, 플립러닝 등을 했으나, 학생들의 자발적 참여가 미흡함.

-국내에서는 지도교수를 PI를 선정하고 페이퍼 상으로만 등록하는 수준. 실질적인 PI역할을 하는 사람을 선정하는 것이 중요한데 현실적으로 잘 이루어지지 않음. 대학원생이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싶어 했으나, 지도교수의 반대나 눈치때문에 참여하지 못하는 경우도 발생함.

-프로그램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지원하는 TA (조교)도 필요함.

*미국 현장활동

*미국에서는 기술을 위주로 선발을 한다. 한국은 BM을 가지고 선발하고, 최종 평가 시 기술성을 평가하는데 이 것은 문제라고 봄. 선발 시 기술성

*미드 포인트 워크샵 때, 중간 과정을 어떻게 체크했나? 참가팀 진도가 안나가면 어떻게 조치하는가? => 지원금에 대한 차별화를 주고 있음.




5. 송나옥 교수

-교육프로그램에서 장소가 중요한 것 같다. 고객개발을 원할하게 진행하기 위해서 대중교통 접근성이 중요하다.

-학부생은 기술적 역량이 부족해서 대학원생 위주로 참여자 변경을 함.

-한국에서는 PI가 잘 참여하지 않음. PI가 중요한데 모아놓고 PI 오리엔테이션을 실시하기도 함. PI의 참여가 매우 중요함. 고객발굴과정의 성공을 좌지우지함. PI가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야 함.

-목표 설정이 중요한데, 자원조달의 또 다른 채널로 볼 것인가? 

-발명가의 입장에서 혁신가의 관점으로 전환됨.

-강의세션이 매우 중요하다고 본다. 각각의 파트를 정확하게 이해하도록 강의해야 함.

-BM에 대한 깊은 이해가 중요.

-미국의 인스트럭터는 DUTY와 RIGHT을 모두 보유하고 영향력을 발휘. 한국은 인트스트럭터에게 DUTY와 RIGHT 권한을 주어야 함.

*미국에서는 인스트럭터가 강력한 권한을 가지고 행사한다. 팀을 짜르기도 하고 지원금을 중단시키기도 한다. 한국에서는 왜 권한을 주지 못하는가?







(Add Budher to your Linked-in / Facebook)


 업가정신 세계일주

[World Entrepreneurship Travel]

-Quest for Little Hero-


Homepage : www.wet.or.kr
Twitter : @wetproject / @btools
E-mail : WET project / Budher Song

기업가정신 세계일주 프로젝트는 아래 기관 및
단체의 
 협력과 지원을 받고 있습니다.




송정현 (Budher Song)

업가정신 교육/훈련 함께 하기

제 4화 기업가정신 훈련 가이드북 발간 - 전국 LINC 사업단에 무료배포


기업가정신 훈련 가이드북(기업가정신 훈련 프로그램 설계/운영 메뉴얼)이 나와서 전국 LINC 사업단에 배포가 되었다. 내가 만들었지만, 나도 얼마 전에 겨우 한 권을 구할 수 있었다. 초기 컨셉은 넓은 개념에서의 일반적인 기업가정신 훈련 가이드북을 만드는 것이였으나, 사업의 예산과 해당 사업의 컨셉때문에 학생 창업교육 챔피언십 경진대회 운영 메뉴얼로 범주가 좁아졌다.

단, 3년 동안 기업가정신 훈련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워크북을 만들고 프로그램을 운영했던 각종 노하우들이 반영된 책이다. 교육이 아닌 훈련의 관점에서 말이다.

이 책을 만드느라 우여 곡절이 참 많았다. 바쁜 일정도 일정때문에 온전히 시간투자를 하지 못했다는 점도 아쉬운 점이다. 여러모로 부족한 점이 많은 결과물이지만, 우리나라 최초의 기업가정신 훈련을 위한 가이드북, 메뉴얼 북이라는 관점에서 의의가 있겠다. 단, 처음은 무엇이든 모자람이 많은 법이다!라고 혼자 자위해본다. (여러모로 많이 보완해야할 점들이 너무나 많구나. ㅠㅠ)

다음에 만들면 더 잘 만들 수 있다. 다음에는 원래 초기 기획대로 기업가정신 교육에서 교육과 훈련이 무엇이 다른지, 훈련은 어떤 관점과 어떻게 하면 효과적인지 등에 대한 일반적인 기업가정신 훈련 가이드북을 만들어보고 싶다. 이제는 감각적으로 어떻게 만들어야 하는지 감이 왔다.



기업가정신. 누구에게 무엇을 어떻게 교육하고 훈련할 것인가?



이와 같은 물음과 질문을 가지고 있는 담당자나 교육자, 훈련가와 많은 교류를 하고 싶다.


2013년 11월 17일

기업가정신 세계일주 활동과정

Entrepreneurial Process

#기업가정신 세계일주 탐험단

Season 3 with Campus Hero




업가정신 세계일주 탐험단

Season 3 with Campus Hero


-탐험단원 모집-


  




안녕하세요.
기업가정신 세계일주 탐험단장 송정현입니다.

이번 겨울방학에 2주 일정으로 [기업가정신 세계일주 탐험단 시즌3 with 캠퍼스 영웅전]를 다시 떠납니다. 이번 방문국은 싱가포르와 말레이시아입니다. 이들 국가는 동남아시아의 중심이자, 최근 활발하게 기업가정신과 창업 관련 활동이 일어나고 있는 지역이기도 합니다. 함께 참여하고 싶은 분들은 미리 아래 방법에 따라 참가신청 해주세요. 3차 탐험단 계획안은 아래와 같지만, 현지 일정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참가신청자는 서류 검토 및 면접을 통해 선발할 예정입니다.)


#기업가정신 세계일주 3차 탐험 계획안

 주      최 : 기업가정신 문화센터, 한국청년기업가정신재단, Global Entrepreneurship Week Korea

 주      관 : 기업가정신 세계일주 탐험단
                    
 후      원 : 교육부, 한국연구재단

 협      력 : G20 Young Entrepreneur Alliance, Start-up Malaysia, Stat-up Cup Global HQ,
                    Social Innovation Camp ASIA, SPRING, NUS

 개      요
외의 청년창업가 또는 오피니언 리더들을 만나서 인터뷰 활동을 통해 그들의 도전정신과 삶의 지혜를 배우고, 현지 예비 창업팀과 함께 사업 아이디어도 개발해보면서 창업역량을 강화하는 기업가정신 탐험.


○ 탐방일정 : 2013. 12. 17 ~ 12. 31 (1315)


○ 탐방지역 :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선발인원 : 4~5명 (교육부, 캠퍼스 영웅전 우승팀 8명은 이미 선발됨)

 주요활동
*현지 탐험활동
1. 청년/성공창업가 인터뷰 및 교류활동
2. 기업가정신/창업과 관련된 단체/기관 탐방
3. 기업가정신/창업 특강 및 세미나
4. 한인단체 방문 및 한인 창업가 인터뷰 / 교류활동
5. 현지 문화탐방 및 현지인 생활 체험활동
*귀국 후 활동
1. 해외 탐험 활동 컨텐츠 제작(작문, 인터뷰 동영상 편집 등) 및 배포
2. 탐험단 활동 시상식 및 지속적인 교류 활동



 


 일정별 세부 해외 탐험활동

월일

(요일)

출발지

도착지

방문기관

업무수행내용

접촉예정인물

(직책포함)

12.17()

서울

인천공항

말레이시아

-

-

-

12.18()

~

12.23()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

Start-up Malaysia

Startup Global Youth 프로그램 운영자

기업가정신 세미나, 청년 창업가 특강

Dash Dhakshinamoorthy

(Founder)

Social Innovation Camp Asia

소셜이노베이션캠프 프로그램 운영자

기업가정신 세미나

Andrew Tan

(Asia Operator)

Start-up Cup Competition Malaysia

Business Model 전문경진대회 운영자

BM 세미나

Gerald Kong

(Organizer)

12.19()

~

12.26()

-

#학생팀별 별도의 조사활동

-창업가 인터뷰 활동 및 시장조사 활

-학생팀과 창업 아이템 공동개발 및

  조사활동

-

12.26()

~

12.30()

싱가포르

싱가포르

싱가포르

싱가포르

SPRING Singapore

World Entrepreneurship Forum 세미나


싱가포르국립대학


창업 지원 프로그램 세미나

-학생 창업팀과 교류활동

Sim Choon

Siong (Director)

-

#학생팀별 별도의 조사활동

-창업가 인터뷰 활동 및 시장조사 활동

-

12.30()

~

12.31()

싱가포르

서울

인천공항

-

-

-

 *상기 일정은 사정에 의해 변경될 수 있음



 탐험대원 활동 수료증 발급


#참가신청 방법
-참가신청 : wetproject@네이버닷컴
-제출서류 : 이력서 + 자기소개서 1부 (파일 하나로 합쳐서 제출 바람, 자유양식)
-제출기한 : 2013년 11월 24일까지
-문의사항 : wetproject@네이버닷컴으로 문의(긴급한 사항 010-5455-오팔구칠)


#참가 신청 시, 주의사항
저희 탐험단은 단순히 여행을 가는 것이 아닙니다. 좋은 호텔에서 자고, 멋있는 레스토랑에서 맛있는 음식과 함께 멋지게 사진을 찍기 위해서 떠나는 여행이 아니라는 겁니다. 죄송하지만, 편안하고 우아한 여행은 우리 탐험단에 없다고 보시면 됩니다.

젊어서 고생은 사서도 한다는 말이 있죠?
기업가정신 세계일주는 젊어서 사서 고생을 해보는 [성장을 위한 학습여행]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좀 더 고생하고 실패해서 자신을 단련시키고 진정한 삶을 찾기 위해 노력하는 분들만 신청해주세요. 

어떤 삶을 살고 싶은지 고민하고 계신 분, 좀 더 넓은 시야를 가지고 싶은 분, 글로벌 마인드와 기업가정신, 도전정신에 대해 체험해보고 싶으신 분들은 지금 바로 신청하셔서 자신이 원하는 삶에 대한 여정을 첫 걸음을 내딛어 보시기 바랍니다.



기업가정신 세계일주 탐험단장   송 정 현 dream.



(Add Budher to your Linked-in / Facebook)


기업가정신 세계일주

[World Entrepreneurship Travel]
-Quest for Little Hero-

*Homepage : www.wet.or.kr
*Twitter : @wetproject / @btools / @ECultureCenter
*E-mail : WET project / 송정현



기업가정신 세계일주
창업/기업가정신 관련 정보

대한민국 학생창업 페스티벌 개최





(Add Budher to your Linked-in / Facebook)



기업가정신 세계일주
[World Entrepreneurship Travel]
-Quest for Little Hero-

Homepage : www.wet.or.kr
Twitter : @wetproject / @btools
E-mail : WET project / Budher Song

기업가정신 세계일주 프로젝트는 아래 기관 및 단체의 
협력과 지원을 받고 있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