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07월 11일

Entrepreneurial Article
자기계발을 위한 체크리스트


아마도, 2009년이였나? 공병호씨의 미래 인재의 조건이라는 책이였을 것이다.

그 책을 읽고, 해당 내용을 바탕으로 자기계발 체크리스트를 만들어보았다.

자기계발을 위해 노력하는 많은 분들에게 도움이 되길 바란다.


기업가정신에 있어서 '학습'은 최고의 도구이다.




- 자기계발을 위해 스스로에게 던지는 10가지 질문 -


작성자 : 


1. 어떤 능력을 우선적으로 계발해야 하는가?




2. 그런 능력을 갖고맞게 될 미래의 모습을 어떻게 내다보는가?




3. 자신이 선택하려는 길을 먼저 걸어간 사람들에 대해 조사해 보았는가?



4. 그들을 만나 직접 이야기를 들어 보았는가?




5. 그런 능력을 어떻게 계발할 것인가?




6. 동원 가능한 자원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7. 포기해야 할 활동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8. 기간은 어느 정도로 예상하고 있는가?




9. 자기계발을 통해 궁극적으로 도달하려는 목표는 무엇인가?




10. 지금 당장 어떤 노력을 해야 하고그렇게 하고 있는가?






2009년도였나? 후배들에게 10가지 질문을 자문자답해오라고 과제를 던져주었다.

그 때 한 친구가 작성한 자기계발을 위해 스스로에게 던지는 10가지 질문에 답을 해서 나에게 보냈던 파일을 공개해본다.


자기계발을 위해 스스로에게 던지는 10가지 질문

 

작성자 : X X X

 

1. 어떤 능력을 우선적으로 계발해야 하는가?

먼저, 체계적으로 계획을 세우고 이를 꾸준히 실천하는 능력을 갖출 것이다. 이것은 능력이라기보다는 기초적인 마음가짐이라고 볼 수 있지만, 나아가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을 수 있는 밑바탕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다음으로는 인적네트워크를 형성하는데 노력할 것이다. 지금까지는 마음을 나누고 주변에 있어주는 친밀한 관계의 사람들이 전부라고 생각했었다. 그래서 나의 조력자가 되어 줄 수 있는 관계의 사람들은 찾으려 하지도 않았고, 설령 그런 사람이 있었다 해도 그 관계를 소홀히 하여 유지하지 못했었다. 앞으로는 내가 조언을 구할 수 있는 관계의 사람들을 많이 만나고, 유지하여 튼실한 인적네트워크를 가질 것이다.

 

2. 그런 능력을 갖고, 맞게 될 미래의 모습을 어떻게 내다보는가?

계획을 수립하고 실천하는 능력을 갖는다면 내가 목표로 삼은 자격사항이나 어학실력 등의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게 될 것이고, 차곡차곡 쌓아둔 인적네트워크까지 갖춘다면 눈앞에 취업 뿐 만아니라 사회생활에서도 큰 힘이 될 것이다. 미래에 나는, 내가 갖춘 능력을 밑거름으로 늘 그 자리에 안주하지 않고, 끊임없이 노력하고, 그에 합당한 결실까지 얻어 내는 멋진 여자가 될 것이다.


3. 자신이 선택하려는 길을 먼저 걸어간 사람들에 대해 조사해 보았는가?

내가 원하는 분야의 직업을 가진 사람들에 대한 조사는 하지 않았다. 하지만, 최근에 책을 통해 내가 앞으로 가야할 길을 구체화시키는데 노력하고 있다.

 

4. 그들을 만나 직접 이야기를 들어 보았는가?

이번학기 BTC과정 CEO특강에서 기업의 경영자들의 이야기를 들을 기회가 있었다. 현재시점에서 내가 갖추어야 할 능력과 그를 위한 방향을 정하는데 큰 도움을 받았다.

 

5. 그런 능력을 어떻게 계발할 것인가?

인적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것은 내가 관심 갖은 분야의 사람들과의 만남으로부터 시작 할 것이다. 나아가 적극적으로 대외활동도 할 것이며, 기업에 실무자들과의 만남 등을 통해 인적네트워크를 갖출 것이다. 

 

6. 동원 가능한 자원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우선, 인적네트워크 형성에는 동아리 선배님들의 조언을 구할 것이다. 또한, 어학능력향상을 위해서는 학원에 다니고 있고 자격증취득은 먼저 취득한 선배들의 조언을 얻어 진행 중이다.

 

7. 포기해야 할 활동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의미 없이 흘려버리는 시간을 줄여야 할 것이다. 즐거움을 쫓기 보다는 실질적으로 내게 도움이 되는 활동의 시간을 늘릴 것이다.

 

8. 기간은 어느 정도로 예상하고 있는가?

인적네트워크형성은 평생을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나머지 자격증 취득은 2009년에 5개의 자격증취득을 목표로 하고 있고, 어학능력은 이번 5월까지 원하는 점수를 얻을 것이다.


9. 자기계발을 통해 궁극적으로 도달하려는 목표는 무엇인가?

어디에서든 필요한 사람이 되고, 모두에게 신뢰를 얻을 수 있는 사람이 될 것이다. 또한, 내가 만족할 수 있는 사람이 될 것이다. 남이 보기에 완벽한 것 보다 자신이 볼 때 완벽한 모습을 갖는 것이 더 어렵다. 그래서 항상 내가 만족할 만한 노력, 그 노력에 대한 결실을 얻기 위해 꾸준히 힘쓸 것이다.


10. 지금 당장 어떤 노력을 해야 하고, 그렇게 하고 있는가?

현재는 내가 세운 연간 계획에 대한 세부적인 계획을 세우고, 이를 꾸준히 실천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지금까지는 계획대로 진행되어 가고 있고, 욕심나는 것들을 추가적으로 계획함으로써 만족할 만한 진행이다. 노력만큼이 결과가 있길 바라며 화이팅!!

 

 


(Add Budher to your Linked-in / Facebook)



기업가정신 세계일주
[World Entrepreneurship Travel]
-Quest for Little Hero-

Homepage : www.wet.or.kr
Twitter : @wetproject / @btools
E-mail : WET project / Budher Song

기업가정신 세계일주 프로젝트는 아래 기관 및 단체의
 협력과 지원을 받고 있습니다.
 





창업가 정신(Entrepreneurship),
생태계(Ecosystem) 체크리스트 (HBR 2010.06)


(자료출처 : http://nicklejun.tistory.com/19)

 

창업가 정신(Entrepreneurship),
생태계(Ecosystem) 체크리스트 (HBR)

Do You Have a Strong Entrepreneurship Ecosystem? 
(Babson Entrepreneurship Ecosystem Project)

2010년 6월 Harvard Business Review에 실린글, 
The Big Idea: How to Start an Entrepreneurial Revolution by Daniel J. Isenberg 와 관련한 창업 생태계관련한 셀프체크리스트이다. 


1. 리더

1-1: 창업가 또는 창업가정신을 강력하게 지지하는 사회적 리더가 있는가?

1-2: 그러한 리더들은 창업가들에게 문호를 열어 놓고 창업가 정신을 고양하고 있는가?

2. 정부

2-1: 정부는 창업가 정신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효과적인 기관들, 즉, 연구소, 해외연락사무소, 공공과 사적 영역간의 대화를 촉진하는 포럼 등을 만들거나 운영하고 있는가?

2-2: 정부는  까다로운 파산제도나 공정계약을 강제하는 제도가 없거나 등, 창업가 정신을 가로막고 있는 각종 장벽들을 제거해 놓았는가?

3.문화

3-1: 전반적인 문화는 정직한 실수, 존경받을 만한 실패, 위험 감수, 기발한 생각 등에 대해 관대한가?

3-2: 창업을 가치있고 존경할 만한 일로 인정하는 문화인가?

4.성공사례

4-1:  젊은이들에게 창업가가 되고 싶도록 자극을 주는 구체적인 성공사례가 있는가?

4-2:  보통사람들도 창업을 통해 성공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줄 만한 사례는 있는가?

5.경영전문가

5-1:  조직을 만들고, 고용하고, 구조를 설계하고, 관리를 해본 경험과 충분한 지식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 존재하는가?

5-2: 전문적인 이사회 및 자문 경험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 존재하는가?

6.기관

6-1: 투자자와 창업가들의 네트웍이 존재하고 상호 학습을 도와줄 수 있는 비영리 산업 협회나 기구가 존재하는가?

6-2: 소프트웨어 또는 바이오 테크 협회 같은 창업가들 간의 협력과 상호 증진을 위한 비영리 산업 협회나 기구가 존재하는가?

7.교육기관

7-1: 재무적 이해나 창업가 정신을 가르칠 수 있는 고등학교 및 대학 교육기관들이 있는가?

7-2: 교수들이 안식년등의 기간중에 창업기업에 직접 참여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대학이나 교육기관들은 있는가?

8.벤처허브(지역)

8-1: 높은 가능성과 성장성있는 벤처들이 모여있는 지리적으로 모여있는 지역이 존재하는가?

8-2: 대학, 표준화 기구, 씽크 탱크, 직업훈력기관, 공급자, 컨설팅 회사, 전문가 협회 등이 집결되어 있는 지역이 존재하는가?

9.네트웍

9-1: 성공한 외국 기업 등의 네트웍을 포함하고 있는 지역 또는 국가의 창업가들과 연결되어 있는 공식적, 비공식적 그룹들이 존재하는가?

9-2: 다양한 국가 출신의 신생 벤처 또는 지역 사무소 등과 연결된 공식적, 비공식적 그룹들은 있는가?

10. 기술전문가

10-1: 필요할 때 또는 지분을 기반으로 벤처를 위해 일할 수 있는 변호사, 회계사, 마케팅, 기술 컨설턴트와 같은  전문가들이 존재하는가?

11.시장

11-1: 신제품이나 서비스를 위해 조언을 줄 수 있는 가망 고객들이 존재하는가?

11-2: 젊고 빠르게 성장하는 공급자의 현금 필요에 조응할 수 있는 지불 조건을 유연하게 받아들일 수 있는 가망고객들이 존재하는가?



리스트가 적지 않다. 하나하나가 다 의미가 있는 것들인데 어떤 항목들은 우리 나라에서 쉽지 않아 보이는 것들도 있다. 특히 11번째에서 이야기한, 신제품이나 서비스에 관대하고 충분히 지불할 의사가 있는 고객들이 존재하는가와 같은 질문은 단순한 얼리어댑터들의 존재 여부만은 아닌 것 같다. 특히 지불 및 결제 조건 등에 대해 벤처기업들이 특별히 신경을 써야 할 것으로 보인다. 

리스트 중에 사람의 요소라 할 수 있는 경영전문가나 기술전문가, 그리고 네트웍 등이 중요성에 비해 많이 간과되고 있는 듯하다. 특히 경영의 경험을 가지고 조언 또는 지도해 줄 수 있는 사람들의 필요성을 지적한 것이 눈에 띤다. 

하여튼 새로운 혁신 기업들이 활발하게 등장하고 성공할 수 있는 창업 생태계를 만드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다행스럽게도 최근 주변에서 이러한 생태계의 필요성에 공감하고 적극 나서는 벤처 선배들이 종종 눈에 띠인다. 그 분들의 보다 효과적으로 생태계를 이루어 나가길 기대한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