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03월 04일

Entrepreneurial Article
 
혁신이란 바로 이런 것 




혁신(革新, Innovation)이란,
혁신의 사전적 의미를 살펴보면, 가죽 혁(皮)과 새로울 신()으로 구성된 한자로 형성된 단어이다. '가죽을 새롭게 하다'라고 직역을 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필자도 처음에는 사물의 겉, 보이는 형태를 의미하는 가죽을 새롭게 하는 것이라고 생각했었는데, 그런 가죽의 의미로는 가죽 피(皮)를 사용한다. 여기서 사용된 혁(皮)은 이미 벗겨낸 가죽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정확하게는 사물과 물체의 겉표면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결국, 혁신의 사전적 본 의미는 벗겨낸 가죽을 무두질(동물의 원피
() 용도에 맞게 가공하는 행위)하여 쓸모 있도록 만드는 새로운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경영혁신이란? 
이를 경제적 관점의 혁신으로 재정의해보면, 기존의 자원에 새로운 능력을 부여하여 쓸모(가치)있게 만들어서 부를 창출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피터드러커 역시 이미 1985년 그의 저서 'Innovation & Entrepreneurship'에서 "Innovation is the specific instrument of entrepreneurship. It is the act that endows resources with a new capacity to create wealth. Innovation, indeed, create a resource."라고 언급했다.



혁신의 2가지 종류
흔히, 혁신을 논할 때, 솔개(Black Kite)의 예를 많이 드는데.. 솔개의 예는 혁신의 본질적 의미를 정확하게 설명해주지 못한다. 혁신사례라기 보다는 '변화(
變化, Change)'사례라는 것이 적합하다고 본다. 또는 개선(改善, Improvement)이라고 볼 수 있다.

솔개는 40년 정도 살 수 있는데, 부리가 자라 구부러지고 발톱이 닳아 힘이 없으며 깃털이 무거워서 날기가 힘들어졌을 때가 다가온 솔개는 두가지 선택의 기로에 놓이게 된다고 한다.

첫번째는 그저 죽음을 기다리는 것이고, 두번째는 약 6개월에 걸친 매우 고통스러운 변화의 과정을 자초한다고 한다. 두번째 삶을 선택한 솔개는 우선 절벽 위에 둥지를 틀고, 먼저 부리를 바위에 부딪쳐 깨부시고 난 뒤, 부리가 다시 자라고 나면 발톱을 하나씩 뽑아버린다. 발톱도 모두 새롭게 다면, 이번에는 부리로 깃털을 뽑아버린다. 그렇게 6개월 동안 추위와 굶주림 속에서 자신의 부리와 발톱과 털을 새롭게 하는 고통스러운 과정을 이겨내면, 새로운 3~40년을 살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한 동영상을 한번 살펴보자.

(동영상 : 솔개의 선택)

굳이 솔개의 변화과정을 혁신으로 표현하자면, 그것은 존속적 혁신(存續的 革新, Sustaining Innovation)이다. 존속적 혁신은 경영학의 아인슈타인이라고 불리우는 하버드 비지니스 스쿨의 Clayton Christensen(클레이튼 크리스텐슨)교수가 주창한 이론으로, 이는 기업이 불만족 고객에게 접근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초기 기반을 확보한 후 성장 잠재력을 확충하기 위해서 쓰는 수단이다. 과거보다 더 나은 성능의 제품(서비스)을 선호하는 고객들을 목표로 기존 제품을 지속적으로 개선해서 보다 매력적인 가격에 제공하는 전략이라고 볼 수 있다. 

 
혁신의 또 다른 종류는 바로 파괴적 혁신(破壞的 革新, Destructive Innovation)이다. 이는 오스트리아 출신의 미국 경제학자인 슘 페터(Joseph Alois Schumpeter)가 처음으로 언급한 개념으로, 기존의 시장과 제품(서비스)을 말 그대로 파괴하고 새로운 시장과 제품(서비스)을 창출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바로 iPhone으로 대변되는 스마트폰의 출시가 좋은 사례이다.



이런
 혁신을 잘 설명해주는 하나의 완벽한 사례는 바로 변태과정(Metamorphosis Process)이다. 하나의 객체가 완벽하게 전혀 다른 모습으로 전환(Transform)되는 완전 변태과정(完全變態, Complete Metamorphosis)이야말로, 동일한 자원과 객체에서 전혀 다른 새로운 객체로 완벽하게 변화되어 새로운 능력과 다른 삶을 영위하게 해주는 위대한 자연의 법칙이자, 훌륭한 혁신사례이다.
 

또 하나의 재미난 혁신 사례가 있다. 얼마 전에 페이스북에서 본 사진인데.. 정말 깜짝 놀랄만한 혁신 사례가 아닐 수 없었다. 그것이 무엇이냐면..?

바로 요것!

(사진 : 맥가이버의 클립)

나는 이 제품을 보고 이것이다! 라는 생각이 들었다. 기존에 클립은 하나에 너무나 저렴한 가치를 지니고 팔리고 있다.(한.. 2~5원 정도 할려나??)
그런데, 기존의 흔하디 흔해빠진 클립이 아닌!! 맥가이버의 멀티툴(MacGyver's Multi-tool)이라고 명명된 이 클립의 가치는 과연 얼마일까??

저 흔해 빠진 클립에 맥가이버의 브랜드 가치를 붙여서 도대체 얼마에 팔고 있는지 궁금했다. 그래서 나는 저 제품을 조사하기 시작했다. (구입하기 위해.. ㅎㅎ;)

CSI를 능가하는 나의 뛰어난 조사능력? 덕분에 제품의 정보를 파악할 수 있었다. (구글과 이베이, 아마존 등 외국 커뮤니티까지 다 뒤졌다.)

그러나, 결론은 다소 허무하게도 이 제품은 실제 제품으로 판매되고 있지 않은 거짓정보로 확인되었다. 한마디로 뽀샵에 의해 그려진? 가짜 제품이라는 것이다. 실제 제품은 1992년 브라질에서 생산되어 정식 발매된 맥가이버 피규어 제품이지만, 이를 포토샵으로 피큐어를 없애고 클립을 그려놓은 것이다.(대단한 녀석들..ㅡㅡ;;)


 (사진 : 실제 정식 발매된 맥가이버 피규어 제품)


하지만, 실제로 저 맥가이버 클립이 발매된다면 어떨까? 기존의 똑같은 원가와 재질과 무게 등을 가진 클립임에도 불구하고 맥가이버가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새로운 가치를 부여하여 판매를 한다면, 저렴한 비용으로 
고객들의 인식을 변화시켜 새로운 가치를 수용하고 그에 대한 비용을 기꺼이 지불하도록 변화시킬 것이다.

이것이야 말로 진정한 가치의 혁신이 아닌가!

(Add Budher to your Linked-in / Facebook)



기업가정신 세계일주
[World Entrepreneurship Travel]
-Quest for Little Hero-

Homepage : www.wet.or.kr
Twitter : @wetproject / @btools
E-mail : WET project / Budher Song

기업가정신 세계일주 프로젝트는 아래 기관 및 단체의
 협력과 지원을 받고 있습니다.
 




2011년 10월 12일

Entrepreneur's Diary #040

제 40화 야동보다 김소월의 시가 더 섹시하다.

야밤중, 불빛이발갛게 / 어.. by dalcrose 저작자 표시동일조건 변경허락

물론, 이 시는 제목에서 언급한 김소월의 섹시한 시는 아니다.
김소월의 '별 헤는 밤'과 같은 유명한 시가 아닌 알려지지 않은 작품을 찾아봤던 것이 벌써 10년도 전에 일이다. 아름답고 서정적인 그의 시만 교과서에서 보다가, 노골적인 묘사들이 넘쳐나는 관능적인 시구들을 보면서 그때 나는 충격에 사로 잡혔다.

김소월의 시가 야동보다 섹시할 줄은 꿈에도 상상이나 했을까?
그만큼 상상은 무한하다. 오히려 제한된 것이 무한으로 확장이 가능하다는 것을 나는 그때 어렴풋이 느꼈다. 왜 이런 느낌은 여러분도 많이 겪지 않았나? 예를 들어, 만화책에서 봤던 슬램덩크를 만화영화로 봤더니 실망스러웠던 적. 소설책이 영화로 만들어졌는데, 그 흥미롭고 나의 상상 속에 주인공들은 영화에서 나의 상상과는 다른 인물이였기에 재미가 떨어지는 것. 이런 경험들은 누구나 한번쯤은 경험해봤을 터.

그것은 상상과 현실의 차이가 그만큼 크다는 것으로 받아 들일 수도 있고, 그만큼 상상력이 크거나, 상상 속에 자신이 그려놓은 이미지가 현실에서 그 무엇에 대한 평가에 너무나 지대한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왜 이런 소리를 하냐면, 창업가는 자신의 꿈을 스스로 그리는 Dreamer이기 때문이다.

창업가는 자신이 그려놓은 그 꿈에 의해 즐거울 때고 있고, 그 꿈에 발목을 잡혀 고통을 받을 수도 있다는 것을 이번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우연히 깨닳을 수 있었다.

전자에 대해서는 특별한 설명이 필요할 것 같지는 않고, 후자에 대해서는 부연 설명이 좀 필요할 것 같다. 후자는 정확하게 자신을 꿈을 이루는 과정에서의 고통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는 것을 우선 밝힌다. 그것으로 오해할 수 있기 때문인데, 아님을 먼저 밝힌다.

자신이 그려놓은 꿈에 발목을 잡혀 고통을 받는다는 것에 대한 의미는, 자신이 그려놓은 그 이미지에 대한 완고함이랄까? 그 유연하지 못한 완고함때문에 스스로 상처를 받게 되는 경우를 의미한다. 또는, 자신이 그려놓은 이미지 때문에 그 한계를 벗어나지 못함에서 오는 고민들을 의미한다. 나는 이 두가지 모두를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경험해보았다.

나 뿐만 아니라 꿈을 먹고 사는 모든 Entrepreneur들이 이런 경험을 했을 것이다.
자신의 꿈을 확고히 그리는 것도 중요하지만, 유연함의 여유도 있어야 한다는 것을 깨닳았다. 너무 유연해서도 안되고, 아무 때나 유연해서도 안된다. 그래서 어려운 것 같다.

이제 어렴풋이 어떤 부분에서 유연해야되는지 말로 형언할 순 없지만, 직관적으로 감이 살짝 올 것 같다. 어쩌면 이것이 피터드러커가 언급한 '판단'이 아닐까??

(Add Budher to your Linked-in / Facebook)


기업가정신 세계일주
[World Entrepreneurship Travel]
-Quest for Little Hero-

*Homepage : www.wet.or.kr
*Twitter : @wetproject / @btools
*E-mail : WET project / 송정현



2011년 05월 11일

Entrepreneurial
Articles

by Damiao Santana 저작자 표시변경 금지

나는 예술과 기술과 경영이 본질적으로 다르지 않다고 생각한다.
나는 음악을 통해서 경영을 바라보고, 경영을 통해 음악을 바라보곤 했었다.
그런 생각과 행동과 말들을 여태 글로 제대로 옮기지는 못했다. 그래서 아쉬웠다.
(나는 말과 글이 느린 사람이다. 대신에 생각과 행동이 빠른 사람이고 싶다.)

최근에 국내일주 송판선 팀장이 공감가는 글들을 많이 써서 대리만족을 느끼고 있다.
(청림그룹사운드라는 밴드에서 함께 음악을 배웠던 후배이기도 하다. 그래서 아마도 비슷한 관점을 가지고 있는 듯 하다.)

그의 글에 사족을 덧붙이자면,
음악이든 경영이든, 결국 매일 하루하루의 실천이 그 목표를 달성하게 해준다. 나는 솔직히 그 과정이 즐겁지는 않았다. 지금도 마찬가지다. 그러나 그 과정을 지나 달성한 중간 지점 또는 목표점에 도착했을 때의 그 성취감, 만족감, 희열, 쾌감은 오르가즘보다 더 지독한 것이다.

그것이야 말로 지루하고 비루하게 그 과정을 이겨낸 자만이 가질 수 있는 최고의 쾌락이자 오르가즘이 아닌가 생각한다.

나는 오늘도 그 오르가즘을 느끼기 위해, 매일 하루에도 열두번씩 부단히 천당과 지옥을 오가고 있는 중이다. 당신은 느껴보았는가??



아래는 국내일주 송판선 팀장의 글이다.



요즘 필자는 정기 콘서트 준비로 한창 바쁜 나날을 보내고있다.
필자는 밴드의 기타를 담당하고 있는데, 합주를 하면서 많은 부분을 배워나가는 요즘이다. 밴드의 합주는 절대로 혼자서 만들 수도없고, 그렇다고 한 사람의 연주력이 뛰어난다고해서 곡의 퀄리티가 높아지지 않는다.

맞지않는 부분은 멤버간에 눈빛으로 대화로 수정해나가고, 본인이 부족한 부분은 개인연습을 통해 하나의 흐름을 만들어나간다. 그것을 나는 '화음'이라고 생각한다.
'화음'이란 개개인의 소리를 하나의 아름다운 흐름으로 만드는 것이라고 생각하는데(화음의 정의가 '화음이란 높이가 다른 2개 이상의 음이 동시에 울렸을 때의 합성음을 말한다. ...') 이는 서로 다른 악기의 소리를 동시에 울렸을 때의 아름다운 선율을 만들어나가는 것과 일맥상통한다고 생각하기에...

여튼, 밴드의 합주 사운드도 '기업가정신'의 측면에서 보면, 참으로 생각할 부분이 많다.

어려운 부분을 연주할 때 스스로 본인 혹은 멤버들과 타협하여 진행하느냐, 아니면 원곡을 그대로 카피하여 진행하느냐의 결정에서 일단 문제가 시작된다.

또다른 부분은, 본인이 하고 싶어하는 성향의 노래와 맞지 않는 노래를 선택할 때의 문제를 들 수 있을 것이다.

솔직히 위의 두 가지 문제가 요즘 필자가 합주할 때 겪는 가장 큰 애로사항(?)이다. ^^

합주를 진행할 때, 어느 한 파트에서 준비가 소홀했다거나 부진하면 그날의 합주는 정말 분위기가 좋지않다. 재미있지도 않고, 의욕도 없어진다.
특히 본인의 솔로 혹은 애드립을 진행할 때가 (특히 필자의 경우) 그러한데, 내가 준비한 애드립이 합주 때 어색하게 들리거나 혹은 열심히 카피해서 그대로 연주했음에도 불구하고 톤이나 다른 부분에서 트러블이 나면 갈등이 시작된다.

또한, 곡 선정에 있어서 본인이 구상하는 레파토리들로 곡이 진행이 안 될 경우에도 심한 갈등이 생겨난다.

하지만 돌이켜 생각해보면, 위의 문제점에 대한 해결책은 참으로 단순하다.
한번 '다르게 생각하면' 충분히 해결을 할 수있는 문제들이기 때문이다.

Think Different...
필자가 가장 좋아하는 표현(97년 애플이 내걸었던 표어)인데 한번 본인의 입장에서 귀찮고 수고스럽더라도 곡에서 트러블이 나는 원인이 본인에게 있다면, 한번 더 연습하고 그래도 안되면 두 번 더 연습하면 되는 것이다.
그리고 곡의 선택에 있어서 '양보'와 '타협'을 보면 곡 선정의 갈등도 크게 줄어들 것이다. (이는 '신뢰'와 '협동'이라는 표현과도 맞는 듯하다)

피터드러커의 'Innovation and Entrepreneurship'의 1부의 구성은 '경영혁신'에 관해 적혀있고, 2부는 '기업가정신'의 실천에 대해 쓰여있는데, 2부의 시작에서 피터드러커는 말한다. '기업가정신의 시작은 경영혁신이 기초되어 있지 않으면 안 된다'라고...

자신을 먼저 돌아보고 고칠점을 분석해 나가는 것이 '기업가정신'의 시작이라고 생각한다. 그렇다면 합주할 때의 트러블의 해결방안도 '기업가정신'의 기초단계인 '경영혁신', 특히 자기자신에 대한 '경영혁신'의 마인드로 생각을 한 번 더 '다르게 생각해본다'면,
해결하지 못할 트러블은 없다고 생각한다.

즉, 풀어서 얘기하자면...
나 자신에 대한 문제점의 자각과 다른 멤버들과의 트러블에 대한 해결방안을 내놓는 것이 '경영혁신'의 시작이라면,
그것을 적용하여 하나의 화음 혹은 일체감을 만들어 내는 것이 '기업가정신'의 시작이 된다라는 것이 나의 생각이다.

이렇게 '음악'을 통해서도 나는 요즘 '기업가정신'을 생각하고 있다.
다음에는 나의 '전공'에 관한 '기업가정신'에 대한 글을 써보기로 해보겠다...


(Add Budher to your Linked-in / Facebook)



기업가정신 세계일주
[World Entrepreneurship Travel]
-Quest for Little Hero-

Homepage : www.wet.or.kr
Twitter : @wetproject / @btools
E-mail : WET project / Budher Song

기업가정신 세계일주 프로젝트는 상기 기관 및 단체의 
 협력과 지원을 받고 있습니다.
 



 

2011년 04월 29일


Entrepreneur's Diary #27
피터 드러커의 Innovation and Entrepreneurship


피터드러커의 Innovation and Entrepreneurship을 다 읽었다.

 

이 책을 처음 구입해서 읽은 것이 2009년 04월 25일인데, 오늘은 2011년 04월 29일이라는 점이다. 정확하게 2년하고도 5일이 지난 지금에서야 이 책을 단 한 번 읽은 것이다. 그동안의 나의 게으름에 반성하고, 나의 집착에 칭찬을 해주어야 할 것이다.

 

나는 이 책을 매우 산만하게 집중해서 정독을 했다.

아마도 수천번의 시도 끝에 이루어 낸 결과일 것이다. 2년이 넘는 시간이 걸렸음에도 불구하고, 나는 이제서야 이 책을 단 한 번 읽은 것에 불과하다. 또한, 그 정독의 결과는 이 고귀한 책에 더럽게도 빼곡하게 적어 놓은 나의 흔적들을 제외하고 남은 것이라고는, 이 책을 늘 곁에 두고 다시 읽어야겠다는 굳은 의지 뿐이다.

 

기업가정신에 대한 훌륭한 책을 읽었음에도 불구하고, 이렇게 비생산적인 결과물을 내어 놓은 내가 과연 훌륭한 창업가가 될 수 있을지는 의문이다.

하지만, 나는 끝까지 바보처럼 갈망하고, 실천할 것을 확신한다. 이것이 내가 훌륭한 창업가가 될 수 밖에 없는, 단 한가지 이유다.

 

조금 더 갈망하고, 실천하자.

나는 할 수 있다.

 

브뤼셀 공항 A47 벤취에서.
 

이 글은 스프링노트에서 작성되었습니다.

(Add Budher to your Linked-in / Facebook)


기업가정신 세계일주
[World Entrepreneurship Travel]
-Quest for Little Hero-

*Homepage : www.wet.or.kr
*Twitter : @wetproject / @btools
*E-mail : WET project / 송정현


2011년 04월 07일

Entrepreneur's Diary #025
거듭되는 실패와 실패


요즘 드는 생각은 아무리 훌륭한(리더같은) 팔로워라도 결국 리더가 아닌 이상 리더가 될 수 없다는 것이다.

그 원인이 무엇일까 계속 곰곰히 생각해보았다. 그것은 내가 창업가적 경영을 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단, 10명도 안되는 인원임에도 불구하고, 창업가적인 조직을 만들지 못했다는 것은 나의 역량의 한계점을 여실하게 보여주는 것이다. 어떻게 하면 창업가적인 조직으로 만들고, 이들이 자유롭게 자신의 꿈을 기업가정신 세계일주 프로젝트에 쏟아낼까? 나는 수없는 고민과 갈구 끝에, 피터드러커의 Innovation and Entrepreneurship에서 그 실마리를 찾을 수 있었다. 작은 실마리를 찾았지만, 문제는 실천이다. 어떻게 피터드러커가 한 이야기를 실천할 것인가?


매일매일 실패에 실패를 거듭하고 있다.
 

실례로, 오늘 Didier Barbet 인터뷰가 허사가 된 것은 간단한 확인을 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나는 나 자신에 대해 너무나 화가 났다. 일단, 영어를 못한다는 것. 팔로워들의 능력을 극대화하지 못했다는 것. 적절한 프로세스를 세우지 못했다는 것. 창업가적 분위기를 만들지 못했다는 것 등 많은 것이 내 책임이다.

나는 이런 문제들이 발생하지 않도록 구조적인. 즉, 창업가적 경영(Entrepreneurial Management)을 해야한다. 우리 프로젝트에 과연 창업가적인 실천과 생각이 녹아나서 진정한 창업가적 프로젝트를 만들어야 한다. 나는 할 수 있다. 

이 많은 문제들을 나는 하나하나 해결해 나갈 것이다. 다시는 간단한 확인을 하지 않아서 나 자신을 허무하게 만드는 이런 바보같은 짓은 하지 않을 것이다. 좀 더 고민하고 실천하자. 이럴 때일수록 좀 더 멤버들을 믿고 맡겨야 한다. 이들이 아니면 누가 나를 신경 써주고, 아껴주고, 챙겨주는가? 승현이와 진영이를 믿자. 이들에게 믿음을 주자. 최선을 다해서 그렇게 하도록 노력해야겠다. 나는 할 수 있다. 나는 할 수 있다.

 

나는 이들이 스스로 일어설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지원해야한다. 지원. 인내. 배려.

매일 되새기자.

 

나는 할 수 있다.

우리는 할 수 있다.



기업가정신 세계일주
[World Entrepreneurship Travel]
-Quest for Little Hero-

*Homepage : www.wet.or.kr
*Twitter : @wetproject / @btools
*E-mail : WET project / 송정현



이 글은 스프링노트에서 작성되었습니다.

 2010년 09월 19일

 



기업가정신 세계일주 준비사무국은

10월 11일(월) 기업가정신 주간 행사에 참가할 계획입니다.

컨퍼런스에 참가하여 기업가정신 관련 최신 정보와

오피니언 리더들의 의견들을 듣는 계기이며,

 

행사에 참여하시는 연사 또는 행사담당자 등

본 프로젝트 관련된 분들을 직접 만나뵐 수 있는 자리이기에,

꼭 참여할 계획입니다.

 

무척 기대가 됩니다.

이 행사는 Global Entrepreneurship Week 행사와는 다른 행사로서,

국내에서 메이저급 5개 경제단체가 공동으로 주관하는 행사입니다.

(전국경제인연합회, 대한상공회의소, 한국무역협회, 중소기업중앙회, 한국경영자총협회)

 

올해로 3회째 운영중인데 그 규모가 날로 커지고 발전하는 것 같습니다.

 

기업가정신 관련 관심 있으신 분들은 아래 공고내용과

참가신청을 확인하시어 참가등록 하시기 바랍니다.

(등록하신 분들은 행사 당일 네트웍을 위해 댓글과 연락처 남겨주시면 번개?도 가능하오니 인사나누시죠.)

 

 

고맙습니다.

 

 

*기업가정신 주간 행사 공식 홈페이지 http://www.entrepreneurships.org/

*참가신청 : http://www.entrepreneurships.org/sub_020104.asp  참가무료

 

 sub_contents_0101.jpg

 

 sub_contents_020101.jpg

 

 sub_contents_020102(1).jpg

 

sub_contents_020103(1).jpg 

 

sub_contents_020105.jpg 

 

 

 

 

이 글은 스프링노트에서 작성되었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