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umn■■■■■/기업가정신 칼럼

록키(Rocky)와 Entrepreneurship(창업가정신, 기업가정신) - 기업가정신 세계일주

송정현 Budher Song 2011. 3. 13. 21:43
2011년 03월 13일

기업가정신 국내일주 팀장인 송판선군의 글이다.

매우 공감되는 글. 각종 수치, 통계에 강해서 그런지 평론가처럼 글을 써놨네.
판선이는 나보다 글을 잘 쓰는 것 같다. 대단!!



록키와 Entrepreneurship(창업가정신, 기업가정신)

글 : 송판선


필자는 영화 '록키(ROCKY)'시리즈의 열혈 팬이다. 주인공 '록키 발보아'의 우직함과 순수함을 무척 좋아하고, 무엇보다 포기와 타협을 모르는 록키의 성실성에서, 필자 삶의 내면에 대한 방향성을 정했다고 생각한다.


'기업가'는 '록키'와 같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어떠한 고난과 어려움이 있어도 헤쳐나갈 수 있는 의지와 끈기, 추진력이 있어야한다. 대중예술적인 시각에서 좀 더 글을 써보겠다.

70년대는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대중예술이 찬란했던 시기라고 생각한다. 60년대의 플라워 무브먼트를 태동으로 사회전반적으로 평화와 사랑을 외치던 이러한 의식체계는 예술분야에서도 예외는 아니었다. 60년대의 사회적인 시점으로보면, 존.F.케네디와 마틴루터킹의 암살사건, 베트남전, 워터게이트 사건, 프랑스의 68혁명등 미국과 유럽에서는 이러한 변화가있었고, 우리나라로 치면 60년의 4.19혁명을 들 수 있겠다.

60년대의 음악적인 관점에서 보면, 히피의 사조가 되었던 시기였고, 이러한 움직임은 69년 우드스탁에서 커다란 결실을 맺게되어 반전과 평화의 메시지가 전세계에 울려퍼졌던 대중문화의 전환점이 되었던 시기가 60년대였다. 그동안 수동적이고 자기색깔이 없던 60년대 이전의 대중문화는 철저히 기성세대만의 전유물이었다.

엘비스 프레슬리를 시작으로 비틀스와 도어스, 지미 헨드릭스 같은 자의식이 강한 뮤지션들이 나타났고, 문화의 향유층도 위에서 아래로 점차 그 영역이 확산되어갔다.

70년대는 60년대의 그러한 변화의 태동으로 인해 서서히 발전하던 대중예술계의 꽃과같은 시기였다. 60년대가 흙에 씨를 뿌리고 물을 주었던 시기라면, 70년대는 새싹이 자라나고 튼튼한 나무로 성장하던 찬란한 시기였다.

영화 ROCKY는 베트남전과 워터게이트 사건으로 침잠해있던 미국인들에게 활력을 불어넣어주기위한 영화였다. 실베스터 스탤론은 이탈리아계 인종이지만 어떻게 보면 '아메리칸 드림'의 상징적인 존재중의 하나였다.

실베스터 스탤론의 걸작들인 'ROCKY'시리즈와 'RAMBO'시리즈는 아직도 말이 많다. 철저한 미국주의에 입각한 '아메리칸 드림'과 '베트남전'의 아픔을 달래주려는 의도가 너무 짙게 깔려있기에, 영화가 주는 메시지는 사람, 지역, 인종마다 받아들이는 정도가 너무 다르다.

ROCKY는 영화자체적으로 봤을때는 무척이나 감동적인 스토리와 박진감 넘치는 전개와 로맨스가 결합된 이상적인 영화이다.

하지만 그 이면에는 미국의 어두운 이면(인종차별, 화이트 트래쉬, 워터게이트, 베트남전)을 덮으려는 의도는 다분하다.

'모든 예술은 시대상을 반영한다' 100% 맞는 말이라고 생각한다. 정신이 없는, 혼이 없는 예술은 예술이 아니다. 여기서 말하는 '시대상'이라는 단어에 주목할 필요가있다.

단순히 그 시대만을 딱집어서 표현하는것이 아니라, 그 속에 담고있는 사회적 메시지와 사람들의 염원과 작가주의가 결합된 의미를 담고 있다고 생각한다.

그렇다면 이제 본 취지로 돌아가보자.

지금의 시대가 요구하는 것은 무엇인가? 
현재 우리사회는 영화 '록키(ROCKY)'와 같이 시대가 요구하고 사람들에게 감동을 불어 넣어줄 수있는 '기업가정신(Entrepreneurship)'이 이 시대가 요구하는 핵심이라고 생각한다. 모든 예술뿐만 아니라 어느 분야에서도 그 시대상을 반영하고, 현재 기업문화라던가 전세계적인 추세는 '기업가정신'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왜 그러한가?

아무리 어려운 상황에서도 본인만의 의지를 꺾지않고 불의에 타협하지 않는 자세와
밑바닥에서도 노력하면 성공할 수 있다라는 희망이 아닐까?
하지만 영화속 록키와 같이 사각의 링안에서 승리를 거두기위해, 우리는 뼈를 깎는 고통을 이겨낼 정신력을 갖추고 있어야한다.

기업가는 누구나 할 수있다. 하지만 올바른 기업가정신을 갖춘 기업가가 되기는 어렵다.
진정한 기업가는 어떠한 위치에 있어도 흔들리지않고 본인의 의지를 추진해나가는 강한 정신력과 도전정신을 갖추고 있어야한다.

나는 영화 록키에서 그런 기업가정신을 보았다. 기업가정신은 사람에 따라 정의가 다르다. 나는 기업가를 배우는 학도이면서 예술을 하는 예술쟁이다. 구태여 기업가라는 이미지 때문에 경영적인 측면과 사회적인 측면에서 '기업가정신'을 생각하기보다는, 우리 일상생활에서 본인이 접하기 쉬운 곳에서 기업가 정신의 의미를 하나씩 찾아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