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은 화가 많이 난다.

 

우주가 태어나고 난 뒤로는 세상을 보는 관점이 조금 달라졌다. 예전엔 나한테 피해가 없으면 그만이였는데, 이제는 아들이 살아갈 세상, 환경에 대해 나도 모르게 관심이 생긴다. 지금 바꾸지 않으면 내 아이가 세상의 부조리, 불합리, 단합, 비리들에 노출될 것이기 때문이다.

 

그런 불만들이 계속 쌓이는 것 같기도 하다.

그래서인지 작은 일에도 아주 날카롭게 반응을 하게 된다.

 

이런 불만과 분노가 대체로 부정적이지만, 때로는 긍정적일 때도 있었다.

불만과 분노로 인해 해당 문제를 적극적으로 해결하게 된다. (해결하려고 노력한다.)

 

어쩌면 불만과 분노는 움직임의 원동력인지도.

대덕에 기술사업화 전문가에게 에스노그래피 현장실습을 진행했습니다.
기술사업화 전문가들이라 내공이 정말 대단한 분들인데요. 그 분들을 대상으로 Training for Trainer 프로그램을 진행했습니다. 기존에 기술을 기반으로 사업화 전략을 짜고 수행했던 분들이라..... 어쩌면 고객과 사용자 중심 사업화 전략 관점에 힘들어하시거나 거부감을 가지시진 않을까? 조심스러웠는데..... 다들 즐겁게 임해주셨습니다.

토론은 정말 각각의 전문가 분들이 쏟아내는 그 내공이야 말로 대단하다는 감탄이 절로 나왔습니다. 디자인씽킹, 서비스 디자인 등 다양한 방법론도 익히고 계셨던 터라 쉽게 깊게 이해하신듯.

에스노그래피 분류체계와 성분 분석 진행 중입니다.

고객구매요인에 대해 브레인라이팅 방법으로 토론 및 분류


현장 노트 및 고객 관찰, 쉐도잉 실시

구매한 고객을 대상으로 인터뷰 실시

점원을 대상으로 인터뷰 실시

송정현 (Budher Song)


업가정신 교육/훈련 함께 하기

제화




I-CORP 프로그램 워크샵 Day1



퀵 프로그램 소개




TA 프로그램 진행자 설명

- 고객 인터뷰, 비지니스 모델 개발 등 매우 불편한 상황들 속에서 그들을 원칙과 유연함을 동시에 활용하면서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것이 중요. 

- TA는 모든 멤버들과 잘 의사소통하는 것이 중요. 런치패드, Dropbox 등 다양한 협업도구를 활용하기 때문에 해당 도구를 익히는 시간이 필요.




린스타트업 인스트럭터에게 필요한 속성은 무엇인가?

#토론

- 원칙과 유연함 : 프로그램의 진행 상

- 국가별 문화나 사람들의 다양성에 대한 이해와 탐구

- 시장에 대한 인사이트

- 프로세스를 훈련시키는 것이 중요

 

#슬라이드

1. 경험 Experienced : 스타트업 경험(파운딩, 투자), STEM 경험, 린스타트업 & 비지니스 모델링, 

2. 책임감 Accountable : 커밋트(교육, 프로그램)

3. 집중력 Focused : 

4. 공정함 Fair : 언제 어디서든지 우리가 틀릴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는 것이 중요, 




인스트럭터, TEACHER

1. 프로세스 티칭, 플립러닝 클래스 : 듣고 이해하는것, 패턴인식

2. Lecturing & Leading : Command the room, 스토리텔러, 팀 동기부여시키기, 에너지 넘치는, 신뢰성(Credibility with faculty, students, mentors, entrepreneurs) 

3. 멘토링(공감, 감성지능, 학생들에게 계획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




인스트럭터로서 나의 강점과 약점

#My Strengths 

1. Cruel, No Mercy for Principal 

2. Understanding Startup Process

3. Action so Fast


#My Weakness

1. No Ex about EXIT & Harvesting





#I-Corps & Lean Startup 이해

스타트업은 비지니스 모델을 개발하는 것.


Startup is Search

Company is Execution





#팀발표

1번 페이지는 팀(개인)소개, 2번 페이지는 아이템에 대한 소개(What is your Product & Solution, Who is your Customer, Why customer buy your product고객의 구매이유)


1. Smart Hybrid Auxiliary Power System

2. Parallel me

3. Lovoco

.

.

.

11.




#강의 및 실습

팀별 발표 후, 비지니스 모델 캔버스+CS에 대한 강의 Dan


강의 후 각 블럭별로 구체적인 설명과 예시 후 5분 동안 CS블럭을 작성하고 발표 + 피드백(인스트럭터) 실시


VP에 대한 강의 Jim Chung

Customer Profile - Value Map - Fit





I-CORP 프로그램 워크샵 Day2


#인스트럭터와 멘토의 역할 차이

I : 고객개발 프로세스를 학습하고 이를 잘 수행할 수 있도록 리딩하는 역할

M : 참가팀이 비지니스를 잘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역할



참가팀과 발표

룰을 지키지 않았을 땐 단호한 모습을 보여주어야 한다.(상대방이 조금 기분 나쁠 수 있지만.. 가르쳐주어야 하는 것을 인스트럭터는 가르쳐주어야 한다)

1대1로 만나는 오피스 시간에는 팀의 잘못이 무엇인지 알려주고 이해를 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Excuses 

비지니스 모델 캔버스를 작성하는 것은 고객의 관점이나 입장을 반영하는 작업



#개인별 BMC 발표 + 피드백




#






I-CORP 프로그램 워크샵 Day3


#WebEx 세미나






I-CORP 프로그램 워크샵 Day4


#Customer Discovery in Field 






I-CORP 프로그램 워크샵 Day5


#디브리핑 : 

1. 지난 주 웹미나에 대한 의견 공유, 개선방향 도출.

2. 팀에 대한 활동에 대한 정보공유 및 피드백(잘한 것과 못한 것, 인스트럭터로서 의견 제시)





#






I-CORP 프로그램 워크샵 Day6


#팀별 현장 인터뷰 - SPIRA







I-CORP 프로그램 워크샵 Day7


#팀별 인터뷰 과정 및 결과, 향후 계획 발표



















2018년 1월 1일


메이커 변태송장 활동과정

Entrepreneurial Process

#크레이지 카트 제작 계획



[대전메이커스페이스]


이번 달 부터 크레이지 카트 CRAZY CART와 드래프트 트라이크 DRIFT TRIKE를 만들 계획입니다.

(목표는 2월 말까지. 2개를 완성하는 걸로. ㅎㅎ 사업 정리한 기념으로다가 만들기에 집중해보려고 합니다.)


크레이지 카트 Crazy Cart : Razor에서 만든 드리프트가 가능한 카트 제품인데, 많은 메이커들이 만들어서 재미나게 타고 있습니다. 국내에는 널리 보급되어 있지 않아서 좀 생소한 제품인데, 카트 쪽을 자주 접한 분들은 머스트 해브 아이템이랄까요?



여튼 요렇게 생긴 놈인데, 드리프트가 가능한 고카트(GO CART)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예산은 정확하게 뽑아봐야겠지만, 대략 50만원 정도 들어가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저는 진짜 짐을 나르는 카트를 해킹해서 크레이지 카트를 만들어볼까 합니다.


자 크레이지 카트! 백문이 불여일견! 사진으로만 봐서는 이녀석의 재미와 매력을 느낄 수 없습니다. 직접 타봐야 느낄 수 있지만, 아래 동영상으로나마 감상해보시죠.


<Crazy Cart https://youtu.be/FrGFjAlawmg>



2014년 솔리드 엣지 Solid Edge 에서 개최한 재미있는 챌린지. 'GET CRAZY'라는 행사로 기본 크레이지 카트 디자인 파일을 활용해서 새로운 카트를 디자인하는 도전적인? 행사였습니다. 재미난 프로젝트였던 것 같은데요. 접속하면 크레이지 카트 3D 모델링 도면을 받을 수 있다는 거. ㅎㅎ 참고하세요.

https://grabcad.com/challenges/the-get-crazy-razor-crazy-cart-design-challenge






다음에 만들 모빌리티 디바이스는 드리프트 트라이크!


Engine Drift Trikes https://youtu.be/eHFoY3moCqo



(Add Budher to your Linked-in / Facebook)


보도 일자 : 2017년 
보도 매체 : 
보도 출처 :  


창업/기업가정신 관련 정보


#

National I-Corps 한미인스트럭터 워크샵 2일차



2일차 : 고객중심 창업교육(Customer Discovery) 적용사례 


1. 한양대 I-Corps 프로그램 운영사례 (권용준 대표)

-국내 교육 사례 : 2017년 여름 7주 과정으로 진행

-전담 인스트럭터 7명이 참여, 사례중심 강의

-오프닝 캠프 - 미들 체크 - 클로징 캠프, 중간에 진행

-시장조사비용 지원

-플립러닝 시 선행교육 과제를 주었으나, 사전 학습이 잘 진행되지 않은 경우가 있었음. 관리 필요.

-온라인 프로젝트 관리 시스템을 활용하여 인스트럭터의 실시간 진도체크, 정보/의견 공유가 유용함.

-모든 인스트럭터들이 프로젝트 팀의 활동에 대한 피드백

-고객발굴 계획 - 실험 - 결과 및 향후 계획 수립


*코멘트 : 고객인터뷰에서 정량과 정성 데이터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하기 전에 정량 목표가 먼저 우선시 되어야 함. 매주마다 인터뷰하는 내용이 다르다. 해당 주제별로 인터뷰 활동을 잘 수행해야 함. BMC의 단계별로 인터뷰를 잘 할 수 있도록 푸시, 관리해야 함.

*코멘트 : 인스트럭터가 푸시해서 참가팀에게 인터뷰 목표 숫자를 채워야 함. 매우 중요한 부분.

*코멘트 : I-Corps가 힘들다고 하는 것은 인터뷰 목표가 매우 타이트하기 때문. 




2. 고려대 I-Corps 프로그램 운영사례(심경수 책임연구원)

-KIC 워싱턴 해외연수 진행.

-비지니스 모델 55가지 패턴에 대한 학습.

-서울대 이정도 교수 축적의 시간 - 아이디어 -> 스케일업, 결국 하나씩 고객을 학습하는 과정.

-지나난 과정을 통해 끈기를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함.

-스케일업

-네이버 카페를 활용하여 온라인 런치패드 역할로 활용.




3. 연세대 I-Corps 프로그램 운영사례()

-Lab to Market 교과과정(3학점)으로 개설, 대학원생 대상으로 교육 진행.

-정식 교과과정이라 1주마다 수업을 진행.



4. KDB 고객개발 프로그램 운영사례(이윤석 팀장)

-1학기 과정에서 1년 과정으로 확대

-12개 대학에서 20개 대학으로 확장



5. 학생 활동 우수사례

#해외활동팀

-PI의 적극적인 참여가 매우 중요함. EL의 입장에서 다양한 네트웍, 기회를 활용할 수 있었음.

-미국시장 고객발굴 활동과정에서 일반 소비자를 대상으로 111건의 인터뷰를 실행. 일반 소비자의 수요는 낮다는 것을 발견.

-일반 소비재용 제품/서비스와 하이테크를 다루었던 팀들이 있어서 기술적 이해가 높은 인스트럭터가 참여해주면 좋을 것 같다. 고객개발 과정이 이공계 학생들이 교육받으면 좋은 연구를 하는데도 많은 도움이 될 것.

-중간평가 과정에서 좋은 활동과정에 대한 평가가 누락되었음. 보완 필요.

-대학원생이나 포닥 과정의 팀들은 지재권이 학교에서 속해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가이드라인이 제시되어야 추후 사업화 과정이 원할할 것 같음.




국내활동팀

-멘토의 가르침과 현장의 목소리를 들어서 좋았음, 현장에서 몸으로 부딪혀가며 학습한 것이 좋음, 비지니스 모델을 고객의 니즈에 따라 수정보완해가는 점이 좋았음.

-자신이 기획했던 제안을 현장에 했으나, 현장에서는 해당 제안 아이디어가 필요가 없었고, 대신에 다른 현장에서의 문제점을 발견하고 그에 대한 솔루션을 개발하는 과정으로 수정/보완(PIVOT)

-현장에 나가서 뭘해야 할지 매우 막막했고, 좁은 인맥으로 관련 분야의 고객 인터뷰를 진행하는 것이 어려웠음. 현장에서 고객발굴하는 방법에 대해 가이드를 받으면 좋을 것 같음.

-대학원생이라 연구실을 비우기가 쉽지 않음.




한양대팀

-3D 프린터 소재를 개발하는 팀, 자외선 조사 시 발광하는 3D 프린터 레진 소재 개발

-중국 고객발굴 사전교육 - BM 교육 멘토링, 피드백, 중국창업 환경, 마케팅 교육. 고객발굴하는 방법은 세부적으로 교육되어지지 않은 것 같음.

-중국 해외 연수과정에서 실제 고객개발 과정과 관련된 실무 현장 교육을 받지는 못한 것으로 판단됨. 단순 기존 해외연수 정도의 수준. 고객개발 과정을 거친 것이 아니라, 창업과정에 대한 발표로 판단됨.






국내 1기 인스트럭터 경험 및 인사이트 공유 세션

1. 이흥식 교수

-본인은 가치제안과 고객세분화를 중심으로 진행. 다른 인스트럭터와 함께 프로그램 진행.

-기술창업 교과목으로 진행했으나, 플립러닝에 대한 부분은 쉽지 않았음. 

-학생들이 인터뷰 활동에 많은 시간을 내는 것에 큰 부담을 가졌었음. 학기 중에는 다른 수업 등으로 인해 물리적인 시간 자체가 부족함. 고객발굴에 온전히 집중할 수 있는 물리적 시간이 주어진다면 좀 더 좋은 성과 창출.

-플립러닝을 좀 더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성이 있음.

*코멘트 : 미국 학생들도 학기 중에 진행. 100회 인터뷰 진행. 한국 학생들만 겪는 어려움은 아니라고 생각함. 2주 동안 집중 인터뷰하는 것은 우려스러운 상황. 양적 수준을 채우는 것이 중요함. 프로토콜을 잘 수행하지 않아서 좋은 결과가 나오지 않을 수도 있음. 방법론을 익히는 것이지 사업화 성공을 위해서 학습하는 것이 아님.



2. 권용준 대표

-리져널, 내셔널 프로그램이 차이점이 있는가?

*고객 인터뷰를 주로 진행

*숏텀 프로그램 : 고객 인터뷰 중심으로 진행, 

  2주 프로그램 : 고객 가치제안을 추가

  4주 프로그램 : 프로젝트 전체를 진행해보도록 진행

*인터뷰 할 때 기술적인 내용은 공개하지 않는 것이 중요. 제품/서비스에 대한 소개 및 고객의 니즈와 문제점에 좀 더 집중하는 것이 중요. 

*SBIR 지원 프로그램을 위해서 I-Corps 프로그램이 나온 것. 정부 관점에서 Innovation, Impact, IP 중요하다. 과제 선정의 기준이 3개 관점에서 진행. 고객개발은 결국 현장에서 혁신과 임팩트 가능성을 찾는 것.

*인스트럭터는 정해진 속도와 목표 활동을 달성하도록 잘 진행하는 것이 중요. 단기간에 100명을 만나는 것은 

*우리가 속도와 양적 학습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이유는 50,000$ 정도의 지원금을 받을 수 있는 수준의 팀이라면 그 정도 고객/시장에 대한 이해과 학습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 해당 목표를 수행하지 않으면 50000$를 지원하지 않음. 결국, 몇 주가 되었던 간에 목표 수준의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 그래서 우리에겐 100개의 인터뷰를 하라는 기준점을 제시하고 있음.

*고객발굴에서 중요한 것은 듣는 것이다. 고객이 원하는 것을 듣는 것이다. 우리 얘기를 소개하는 것이 아니라, 고객의 문제점이 무엇인지와 필요로하는 솔루션이 무엇인지 듣는 것이 중요함. 우리가 원하는 인터뷰는 우리 제품/서비스가 이런건데 어떠냐 식의 질문이나 인터뷰가 아님. 

*SBIR과 STTR 조직이 있는 이유는 내 기술 이외에 기술이 필요하기 때문에 STTR을 통해 라이센싱 계약을 통해 기술조달하기 위함.



3. 주창림 교수

-전반적인 팀의 수준은 높은 역량을 갖추고 있었으나, 몇몇 팀원들은 연구실 등의 상황으로 잘 참여하지 못하는 것 같음. 

-고객발굴 과정에 집중해야 하는데, 아이템에 집중하는 경향도 있었음. 인스트럭터와의 사전 조율 등에 미흡(런치패드 등을 활용해서 사전 토의의 장이 필요한 듯)

-프로젝트의 진행과정(변화)가 한 눈에 잘 파악하기가 쉽지 않음.

-멘토와 인스트럭터에 대한 역할/범위 분담을 정확하게 정리하는 것이 필요.

-교육과정에 대한 부분이라면 교육과정에 대한 부분에 평가를 해야 할 것 같고, 사업화 관점이라면 사업화 관점으로만 평가를 해야 할 듯. 두 가지 관점은 다르기 때문에 다른 트랙으로 구분하여 평가.

-진행과정에서 참여팀이 중간 워크샵 과정에 참여하지 않는 경우도 많았음. 좀 더 후킹될 수 있는..

-프로그램 진행 이후 후속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봄.

*I-Corps 관점에서 멘토를 정의하자면, 여러 과정에서 참가팀을 도와주는 전문가라고 볼 수 있음. 그러나, 이들은 컨설팅을 하지는 않음. 프로그램에서 멘토는 모든 프로그램에 참여를 함.

*기술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제품/서비스의 고객가치가 중요함.

*강사와 멘토가 프로그램을 진행할 때, 사전 학습을 많이 함. 단계별로 강사와 멘토가 참가팀의 진행과정이나 결과를 공유하고 그에 따라 어떻게 진행할지에 대한 부분을 중간 단계마다 




4. 성상현 교수

-7주 동안 고객개발 프로그램

-미드 포인트 워크샵에서는 중간 정보공유 및 점검 과정임.

-인스트럭터인데 멘토역할을 하는 경우가 현장에서 많았음. 인스트럭터 역할에 집중해야 할 필요성이 있음. 

-온라인 플랫폼을 활용하는데 U300플랫폼은 일부 기능 제한이 있어서 한계. 좀 더 업그레이드 된 플랫폼을 개발하고 있음. 런치패드의 경우도 학생들에게는 적합했으나, 고객검증 부분이 

-사전학습, 플립러닝 등을 했으나, 학생들의 자발적 참여가 미흡함.

-국내에서는 지도교수를 PI를 선정하고 페이퍼 상으로만 등록하는 수준. 실질적인 PI역할을 하는 사람을 선정하는 것이 중요한데 현실적으로 잘 이루어지지 않음. 대학원생이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싶어 했으나, 지도교수의 반대나 눈치때문에 참여하지 못하는 경우도 발생함.

-프로그램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지원하는 TA (조교)도 필요함.

*미국 현장활동

*미국에서는 기술을 위주로 선발을 한다. 한국은 BM을 가지고 선발하고, 최종 평가 시 기술성을 평가하는데 이 것은 문제라고 봄. 선발 시 기술성

*미드 포인트 워크샵 때, 중간 과정을 어떻게 체크했나? 참가팀 진도가 안나가면 어떻게 조치하는가? => 지원금에 대한 차별화를 주고 있음.




5. 송나옥 교수

-교육프로그램에서 장소가 중요한 것 같다. 고객개발을 원할하게 진행하기 위해서 대중교통 접근성이 중요하다.

-학부생은 기술적 역량이 부족해서 대학원생 위주로 참여자 변경을 함.

-한국에서는 PI가 잘 참여하지 않음. PI가 중요한데 모아놓고 PI 오리엔테이션을 실시하기도 함. PI의 참여가 매우 중요함. 고객발굴과정의 성공을 좌지우지함. PI가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야 함.

-목표 설정이 중요한데, 자원조달의 또 다른 채널로 볼 것인가? 

-발명가의 입장에서 혁신가의 관점으로 전환됨.

-강의세션이 매우 중요하다고 본다. 각각의 파트를 정확하게 이해하도록 강의해야 함.

-BM에 대한 깊은 이해가 중요.

-미국의 인스트럭터는 DUTY와 RIGHT을 모두 보유하고 영향력을 발휘. 한국은 인트스트럭터에게 DUTY와 RIGHT 권한을 주어야 함.

*미국에서는 인스트럭터가 강력한 권한을 가지고 행사한다. 팀을 짜르기도 하고 지원금을 중단시키기도 한다. 한국에서는 왜 권한을 주지 못하는가?







(Add Budher to your Linked-in / Facebook)


 업가정신 세계일주

[World Entrepreneurship Travel]

-Quest for Little Hero-


Homepage : www.wet.or.kr
Twitter : @wetproject / @btools
E-mail : WET project / Budher Song

기업가정신 세계일주 프로젝트는 아래 기관 및
단체의 
 협력과 지원을 받고 있습니다.



보도 일자 : 2015년 
보도 매체 : 
보도 출처 :  


창업/기업가정신 관련 정보


#National I-Corps 한미 인스트럭터 워크샵 1일차



<워크샵 내용 메모>


SBIR 프로그램 

100M$ 지원사업을 운영, 이 중 3.2%는 무조건 혁신적인 기술개발지원사업에 투자해야함.(정책적으로 규정, 약 6억$ 규모). No Go를 선택하더라도 성공으로 판정. Pivot도 가능하며, No Go 자체도 과정의 긍정적 결과물. 과정만 열심히 성실하게 수행했다라면 해당 경험과 역량이 고스란히 창업팀에 쌓일 것임.


NSF 프로그램 : EL(학생, 포닥 등), PI(기술전문가, 교수 등), IM(업계/산업 전문가)가 한 팀으로 운영.

프로그램 과정에서 성실하게 수행하지 않는 팀은 과정참여 제한. 매우 성실하게 과정에 참여하길 독려.


NIH 프로그램 : 바이오 분야, 정부지원사업을 받은 기업에 지원. C레벨의 임원, PD/PI(프로젝트 개발자, 관리자 등), IE(업계/산업 전문가)가 한 팀으로 운영. 


창업가들이 인스트럭터로 참여, 창업 경험이 반드시 있어야 함.

National Instructors가 되기 위해선 해당 프로그램을 4~5번 정도 각각의 역할로 참여하고, 해당 과정별로 훈련과 평가받고 최종 인정받게 됨. 각 세션을 참여하고 난 다음 각 세션을 리딩하는 경험을 쌓음. NI는 현재 50명 정도 활동.


I-Corps는 혁신을 하기 위한 프로그램. 기술검증을 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시장에서 어떤 가치를 누구에게 제공하고자 하는 것인가? 그 과정에서 기술을 활용해 고객에게 가치를 제공하고 시장에서 적절하게 받아들여질 비지니스 모델을 만들어야 한다.



National I-Corps Format

고객개발과정은 사업을 조사하고 실행하는 과정. 스타트업은 작은 기업이 아니다. 스타트업은 조사가 주요 목표다. 현장으로 내보내기 전에 3일 과정(Opening Workshop)에서 기본 교육을 수행. 기본교육을 하는 이유는 프로그램의 근본적인 컨셉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해서 함. 케이스 스터디, 토론 등을 통해 이해를 높일 수 있음. 


웹미나 등 교육 컨텐츠 활용. 누구에게 어떤 가치를 제공할 것인가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한 현장 활동을 하도록 운영. Closing Workshop을 통해 현장 조사 데이터를 조사하고 분석한 내용을 피드백하고, Go or Not Go를 결정하도록 함. 각 요소별로 Go or Not Go에 대한 이유를 설명해야 함.


고객 조사 데이터 수집 목표 건수를 채우지 못할 경우, 프로그램 운영을 중지하고 조사를 빠른 시간 내 마칠 수 있도록 독려.


플립러닝 통해 선행 공부를 수행해야 함. 실제 수업시간은 발표와 토론 등으로 구성. 뭘 했고, 뭘 배웠고, 앞으론 뭘 할 것인지에 대한 내용을 발표하고 피드백하는 과정이 수업시간에 주로 이루어짐. 해당 부분을 적극적으로 장려.


코호트 관리 과정에서 학습


창업가가 해당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경험이 많은 창업가가 인스트럭터로 참여해야 함.

기술에 대한 내용이 아니라, 고객과 고객의 문제점에 대해 이야기 해달라고 요구해야 함.


#팀티칭

-접근과정에 대해 직접적인 의견을 주어서 총체적인 프로젝트 진행을 관리.

-코칭을 하는 것이지 답을 주는 컨설턴트가 아님. 질문을 던져서 스스로 깨우칠 수 있도록 훌륭한 질문을 던져야 함.

-EL에게 독립적인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역할과 책임을 지원.

-런치패드 같은 플랫폼을 활용해서 다양한 정보를 공유.

-


가장 중요한 것은 현장에 가서 고객을 만나고 고객 개발하게 푸시. 1주일간 15명의 고객을 만나도록 푸시. 고객을 만났는데도 변화가 없다는 것은 제대로 활동을 하지 않은 것일 가능성이 높음. 데이터를 제대로 수집했고, 분석했는지 매주 계속해서 확인.


런치패드를 활용해서 인터뷰 결과물에 대한 피드백하고, 팀별 활동의 양질을 점검.


인스트럭터끼리 서로 채팅을 통해 수업을 최적으로 진행하기 위해 많은 의견(조언)을 주면서 좀 더 좋은 수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서로 모니터링함.


플립러닝을 통해 학생들의 조사 결과물에 대해 다음과 같은 3가지 요소를 담으면 좋았음.

1. 가설은 무엇인지?

2. 어떤 식으로 가설을 실험했는지?

3. 결과는 무엇이였는지?


모든 세션에 EL, PI, IM이 참여를 해야 함. 





NIH 프로그램

NIH의 경우, 동종 업계에 있는 사람들이 참여하기 때문에 다른 사람들의 결과발표를 통해 정보를 얻으려고 함. 결과발표 공유. NSF의 경우 다양한 산업에 대한 결과발표이기 때문에 참가자가 지루해하는 경향이라 결과발표를 공유하지 않음.











(Add Budher to your Linked-in / Facebook)


 업가정신 세계일주

[World Entrepreneurship Travel]

-Quest for Little Hero-


Homepage : www.wet.or.kr
Twitter : @wetproject / @btools
E-mail : WET project / Budher Song

기업가정신 세계일주 프로젝트는 아래 기관 및
단체의 
 협력과 지원을 받고 있습니다.




대전 시민창작페스티벌 현장 스케치 영상



안전하게 성황리에 끝나서 다행이다.

참여해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MYPIN : Great Audio for Great Video




MYPIN - Wireless Microphone for Videographer

Must Have Item for Video Recorder!!
MYPIN : Great Audio for Great Video


Mypin+ just launched now!!!!! Mypin is a wireless microphone for smartphone, DSLR, any devices. 

Backing Now!! I am totally recommend it!!

via @Kickstarter https://www.kickstarter.com/projects/722622659/mypin-great-audio-for-great-video


MYPIN - a portable wireless microphone system


Production Description:

MYPIN is an innovative portable wireless microphone system for video production,

working with smartphone, DSLR camera as well as camcorder. By offering handy

design of devices’ body and their useful features, video shooters can optimize their

sound recording with video creation. Built-in shoe adapter, long-hour battery and

extremely light body are the some of the features that can always support your

production easily and lightly.


Product Features:

● Pin Microphone - Slim and compact microphone enable users to fast field setup

and lead to instant and spontaneous interview. No cumbersome external

microphone is required.

● Long-hour Battery - MYPIN’s built in battery runs as long as 9 hours once it is

fully recharged with android charging cable.

● iOS & Android APP - MYPIN’s exclusive app offers easy video shooting and

sharing features on Facebook and Youtube Channels.

● Real Time Monitoring - Helps avoid sound disconnection and check the quality

of the sound during the video shooting.

● Innovative Design - Built in shoe adapter and light weights(33g/11g) allow video

shooters the convenience to set-up and less burden on the production.


#mypin

#video

#audio

#recorder

#grapher

#kickstarter

#crowdfunding

#product

#tech

#geek

+ Recent posts